Jefferson Airplane – Surrealistic Pillow – RCA/BMG, 1967/2001 조용한 혁명 제퍼슨 에어플레인(Jefferson Airplane)의 [Surrealistic Pillow]는 1960년대 중반 히피 반문화와 싸이키델릭 록의 혁명적 분출에 도화선이 되었던 작품이다. 이 앨범의 이러한 역사적 의미는 1990년대 그런지 록의 돌풍을 몰고 온 너바나(Nirvana)의 [Nevermind]에 상응한다고 할 수 있다. 두 앨범 모두 해당 장르를 발명하지는 않았지만 새로운 음악적 흐름이 주류 무대에서 폭발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문제는 이러한 역사적 중요성이 작품에 대한 냉정한 판단을 압도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점이다. [Surrealistic Pillow]는 이러한 경우의 대표적 사례 중 하나다. 이 앨범은 음악이 좋아서 듣는 앨범이라기 보다 남들이 중요하다니까 ‘들어 보는’ 앨범에 속하는 것이다. 물론 이 앨범의 대표곡들인 “Somebody To Love”와 “White Rabbit”이 명곡들이라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고 이 곡들에 담긴 시대정신에 대해서도 충분한 동의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 두 곡을 제외한 나머지 곡들에 대해서까지 같은 정도의 확신을 갖기는 그리 쉽지 않다. 싸이키델릭 록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약물에 찌든 광란의 도가니다. 그러나 이 앨범에서 ‘약물’이나 ‘광란’ 따위를 감지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앨범 전체를 감싸는 것은 놀라울 만큼 차분하게 가라앉은 분위기다. 간혹 퍼즈 기타를 앞세운 록 넘버들이 등장하기는 하지만 그것들이 표출하는 느낌도 열광적이기 보다는 이성적으로 통제된 흥분에 가깝다. 이러한 음악적 성향은 이 앨범을 싸이키델릭 록 보다는 포크 록의 영토에 더욱 근접시킨다. 사실 이 앨범에서 포크의 자취를 식별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D.C.B.A. -25″는 버즈(The Byrds)의 사운드를 방불케 하고 “How Do You Feel”의 보컬 하모니는 완전히 마마스 & 파파스(The Mama’s & The Papa’s)다. “Comin’ Back To Me”와 “Today”는 보컬리스트 마티 발린(Marty Balin)의 포크 싱어 시절을 짐작케 하는 발라드 곡들이고 “Embryonic Journey”는 요마 코코넨(Jorma Kaukonen)과 잭 캐사디(Jack Casady)의 그룹 핫 튜나(Hot Tuna)를 예견케 하는 통기타 연주곡이다. 역사상 가장 유명한 싸이키델릭 록 앨범의 본질은 결국 포크 록이었던 셈이다. [Surrealistic Pillow]에 싸이키델릭적인 순간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레이스 슬릭(Grace Slick)이 리드 보컬을 맡은 “White Rabbit”과 “Somebody To Love”는 이 앨범의 하이라이트를 이루는 싸이키델릭 록의 고전들이다. 신시대의 개막을 찬미하는 히피의 송가 “Somebody To Love”는 자극적인 기타와 카리스마적인 보컬이 빚어내는 흥분과 박진감이 압권인 곡이고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빗대어 환각제를 예찬한 “White Rabbit”은 아랍적인 선율과 주술적인 보컬이 절묘하게 어우러진 신비하고 관능적인 트랙이다. 그런데 이 곡들은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오리지널이 아니라 그레이스 슬릭이 몸담았던 밴드 그레이트 소사이어티(The Great Society)의 레퍼토리들이다. 그가 제퍼슨 에어플레인에 새로운 멤버로 가입하면서 자신이 과거에 부르던 곡들을 함께 가져온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싸이키델릭 신화는 기본적으로 ‘인수합병’의 산물이었다고 할 수 있다. [Surrealistic Pillow]가 발표될 당시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음악적 주도권을 쥐고 있던 인물은 그룹의 창립자 마티 발린이었다. 앨범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는 그의 작품들은 그가 지닌 그룹 내 위상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말해준다(나머지 멤버들의 기여는 한두 곡씩에 불과할 뿐이다). 그런데 그의 곡들은 포크 싱어 송라이터 출신이라는 그의 음악적 배경과 한계를 그대로 드러낸다. 그가 실력을 발휘하는 곡들은 나긋나긋한 포크 발라드 “Comin’ Back To Me”와 “Today” 정도에 국한될 뿐 록 트랙들에서는 그다지 신뢰를 주지 못하는 것이다. 어쿠스틱 기타-베이스-드럼-전기기타가 차례로 가세하면서 흥분을 고조시키는 “Plastic Fantastic Lover”는 그의 김빠진 보컬 때문에 분위기를 망쳐버린 케이스다. 그는 애초부터 싸이키델릭 사운드와는 융화되기 어려운 음악성의 소유자였던 것이다. 만약 이 곡을 비롯한 록 트랙들(“She Has Funny Cars”, “3/5 of A Mile In 10 Seconds”)의 리드 보컬을 그레이스 슬릭이 담당했다면 이 앨범은 훨씬 더 훌륭한 작품이 될 수 있었을 것이다. [Surrealistic Pillow]를 끝으로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포크 록 시대는 종말을 고하고 만다. 밴드의 음악적 주도권은 그레이스 슬릭과 폴 캔트너(Paul Kantner)에게로 넘어가고 이들은 더욱 강화된 싸이키델릭 록 노선으로 매진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이 앨범은 이들의 음악적 과도기를 표상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과도기적 작품답게 이 앨범의 음악적 질은 별로 고르지 못한 편이다. 그럼에도 이 앨범은 오랫동안 록의 명반으로 칭송되어 왔다. ‘역사의 힘’이라는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 이러한 평가를 이해하기란 그리 쉽지 않을 듯하다. 이 앨범은 동시대의 비틀즈(The Beatles)나 버즈의 음반들처럼 시대를 초월하는 고전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시대에 단단히 고착되어 있는 작품이다. 1960년대 말의 시대적 정서에 특별한 친화성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몰라도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아마 이 앨범의 감성에 동의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Surrealistic Pillow]의 CD 재발매는 그 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1987년 경에 첫번째 CD 리이슈 버전이 등장한 이래 1995년에는 골드 디스크 버전이 출시되었고 이듬해에는 1969년작 [Volunteers]와의 합본 CD가 발매되었다. 그러나 크고 작은 리이슈를 모두 합치면 이 앨범의 CD 버전은 거의 매년 새롭게 나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서 다루어진 2001년 BMG 판은 이 앨범의 가장 최근 버전이다. 필자가 기존에 소장한 1990년 RCA 판과 비교할 때 새로운 버전은 모든 면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보여준다. 특히 새 버전의 깨끗하고 실감나는 음질은 뿌연 안개에 싸여있던 1990년 버전과는 획기적으로 다른 세계를 경험하게 해준다. 그러나 여기서 음질의 중요성을 지나치게 과장할 생각은 없다. 이 작품을 이미 좋아하던 사람이라면 새로운 버전을 통해 앨범의 구석구석을 보다 깊이 음미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던 사람이 음질 때문에 이 앨범을 갑자기 좋아하게 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20030430 | 이기웅 keewlee@hotmail.com 6/10 수록곡 1. She Has Funny Cars 2. Somebody To Love 3. My Best Friend 4. Today 5. Comin’ Back To Me 6. 3/5 of A Mile In 10 Seconds 7. D.C.B.A. -25 8. How Do You Feel 9. Embryonic Journey 10. White Rabbit 11. Plastic Fantastic Lover 12. She Has Funny Cars [Mono Version] 13. Somebody To Love [Mono Version] 14. My Best Friend [Mono Version] 15. Today [Mono Version] 16. Comin’ Back To Me [Mono Version] 17. 3/5 of A Mile In 10 Seconds [Mono Version] 18. D.C.B.A. -25 [Mono Version] 19. How Do You Feel [Mono Version] 20. Embryonic Journey [Mono Version] 21. White Rabbit [Mono Version] 22. Plastic Fantastic Lover [Mono Version] 관련 사이트 Jefferson Airplane 비공식 사이트 http://grove.ufl.edu/~number6/Jefferson.Airplane/airplane.html http://surrealisticpillow.cjb.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