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 시스터즈 – 펄 시스터 특선집(님아/커피 한잔) – 신향/대지(DG 가 02), 1968 ‘소울 가요’의 신데렐라의 탄생, 그 비하인드 스토리 1. ‘역사’가 만들어지기까지 1962년부터 1967년까지 신중현이 추구했던 ‘한국적 록’은 상업적, 대중적인 면에서 실패였다. 그는 연주자로서는 유명했지만, 애드 포나 블루즈 테트 등의 음반의 판매는 신통치 않았다. 때마침 그때는 미8군 쇼는 베트남 전쟁 때문에 사양길에 접어들고 있었고, 그 대신 베트남에 가서 위문 공연을 하는 ‘월남 군예대’라는 호재가 있었다. 그는 그래서 월남 군예대로 일단 출국해서 프랑스나 다른 국가로 진출할 계획을 가지고 군예대에 신청했다. 아마 신대철이 태어난 무렵인 듯하다. 1967년 출국을 기다리던 신중현에게 여고생 듀엣 펄 시스터즈가 찾아왔다. 그 후 펄 시스터즈는 ‘제퍼슨 에어플레인(Jefferson Airplane) 스타일의 가창’을 지도받았고, 신중현이 떠나기 전 기념 음반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신중현은 이 제안을 받아들여 ‘편하게, 눈치 볼 것 없이’ 녹음했다고 한다. 이렇게 해서 ‘역사’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음반은 몇 달 뒤 ‘대박’을 터뜨렸다. 라디오마다 “님아….”라는 후렴구가 흘러나왔고, 거리에서 이걸 따라 부르는 사람들도 많았다. 1969년 말 한 주간지에는 1960년대 10년을 통틀어 10곡의 곡을 뽑았는데 “님아”는 당당히 5위를 차지한다. 발표된 지 1년 남짓 된 곡이 말이다. 음반이 대성공을 거둔 후 다른 주간지에는 초기 미8군 무대부터 펄 시스터즈와의 작업에 이르는 신중현의 경력을 상세하게 취재한 특집 기사가 실렸다(글을 쓴 인물은 서병후 기자인데, 그는 힙합 그룹 D 의 멤버 S의 아버지다). 기사가 나간 뒤 음반업계 사람들, 음악 지망생들이 신중현을 찾아오기 시작하고, 몇 일 연속된 공연도 매진이 되었다. 이렇게 음반이 대중적으로 성공을 거두자 신중현은 ‘마음이 변한다’. 즉, 한국에 계속 살기로 생각을 바꾼 것이다. 이로 인해 음반으로 번 돈을 위약금으로 날렸다는 전해진다. 그렇지만 신중현은 이른바 ‘신중현 사단’을 구성하여 히트 제조기가 된다. 2. ‘히트’의 법칙 음반의 백미는 첫 세곡 “님아”, “커피 한잔”, “떠나야할 그 사람”이다. 느린 템포와 여백이 많은 연주에 펄 시스터즈의 노래가 합쳐져서 잃어버린 것에 대한 그리움, 상실감, 아득함, 쓸쓸함 등의 정서가 나온다. “님아”는 한 마디에 코드가 두 개 나오는 화려한 코드 진행의 기타 스트러밍으로 시종일관 긴장감을 유지하는 가운데 마지막에서 조성이 바뀌면서 외쳐대는 후렴구의 훅(hook)이 인상적인 곡이다. 한편 “커피 한 잔”은 애드 훠의 데뷔 음반에 수록된 “내 속을 태우는구려”와 제목만 다르고 나머지는 같은 곡이지만 ‘임자를 제대로 만났다’는 인상을 주기에 충분하다. 블루지한 퍼즈 기타가 서스테인이 긴 라인을 전개하는 것은 신중현의 다른 작품에서도 그리 많지 않은 특징이다. 뒤에 김선(덩키스), 트윈 폴리오 등이 레코딩했던 “떠나야 할 그 사람”도 이 음반에 수록된 버전이 가장 맛깔난다. 네 번째 곡 “두 그림자”에서는 분위기를 바꿔서 밤에 몰래 데이트하는 연인을 앙증맞게 들춰내고 있다. 신중현의 이후의 작품에서는 보기 힘든 업템포의 흥겨운 ’12마디 로큰롤’이다. 잠시 가사를 인용해 보자. “해지는 언덕 고개에 두 그림자 / 누군지 몰라도 그이와 그녀 / 저기서 만나기로 약속했나봐 / 나와서 고맙대니 그림자는 하나 / 달님이 쑥쓰러워 숨어버리네”. 이어지는 “비밀이기에”는 “님아”와 “커피 한 잔”의 화려함에 가려져서 그렇지 별로 꿇릴 것 없는 곡이다. 마지막인 “알고 싶어요”는 양미란의 “상냥하고 달콤하게”같은 ‘젊은 여성의 풋풋한 사랑’을 담은 노래로, 이 무렵부터 시작된 여성의 ‘자율적 연애’에 대한 기억을 되새기게 해준다. 뒷면은 1960년대에 ‘빽판’으로 발매되었던 팝송 히트곡들의 번안곡을 들을 수 있다. “가고 싶은 샌프란시스코 머리엔 꽃을 달고 가세요/님 찾아가는 샌프란시스코 멋진 사람 만나겠지요/찾아서 오는 많은 사람들 여름엔 사랑 속삭이지요/거리에 다니는 많은 사람들 거리엔 꽃을 달고 다니지/먼 곳에서나 설레이는 가슴 말할 수 없네”(“샌프란시스코에선 머리에 꽃을 꽂으세요”)라는 가사는 히피 문화에 대한 동경을 알 수 있다. 물론 한국어 가사로 부르는 노래를 듣고 있으면 샌프란시스코의 헤이트 애시베리보다는 개발되고 번화해지는 서울 도심의 풍경이 떠오르지만… 3. 소울풀 펄 시스터즈? 당시에는 흔히 그랬듯 이 음반에는 몇 종의 판본이 존재하고 음반 커버도 다르다. 어쨌거나 음반의 제목은 “펄 씨스더 특선집”이고 부제(副題)는”‘Soulful Pearl Sister Hit Album”과 “신중현 작·편곡 1집”이다. 여기서 영어 문법과 철자법, 그리고 한국어 표기가 이상하다는 점을 지적하려는 것은 아니다. 단, ‘Soulful’이라는 단어는 걸린다. 이런 컨셉트는 번안곡만 수록한 또하나의 앨범(대지/신향, DG1018, 연도 미상)에도 등장한다. 그런데 이런 음악이 소울인가? 그렇지만 펄 시스터즈의 창법은 그리 ‘소울풀’하지는 않다. 앞서 ‘제퍼슨 에어플레인 스타일의 가창 지도’에 대해 언급했듯 이들의 창법은 그리 ‘흑인적’이지 않다는 뜻이다. 기타나 드럼 등 악기의 운용도 모타운이나 어틀랜틱 등 우리가 알고 있는 소울 음악에서의 악기의 운용과는 다르다. 비슷한 점이 있다면 펄 시스터즈라는 그룹의 컨셉트는 슈프림스(Supremes)로부터 원용한 것, 그리고 “님아”나 “떠나야 할 사람”에서 현악을 부분적으로 사용한 것 등이다. 그렇지만 현악의 사용은 애드 훠 시절부터 사용했던 것이고 주류 대중음악의 편곡에도 종종 등장하는 것이라서 특별히 소울의 영향이라고 말할 부분은 없다. 예를 들어 “님아”에서 Am – D – F – D – Am – D – F – D – Em – Am – Em – B …으로 이어지는 코드 진행은 소울과는 전혀 관계가 없고 “커피 한 잔”은 한국에 소울이 본격적으로 상륙하기 이전에 작곡된 것이다. 그렇다면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영향을 받은 싸이키델릭 록인가. 그렇다고 하기에는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영향은 기능적으로 보인다. 악곡 형식이나 코드 진행, 그리고 가창 스타일이나 편곡 등에서의 영향은 발견되지만, 그들과 유사한 ‘느낌’은 잘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무엇일까. “우리 음악은 블루스가 아니라 가요다”라고 말했던 신촌 블루스의 엄인호처럼 펄 시스터즈 본인들도 “우리 음악은 소울이 아니라 가요였어요”라고 말할지 모른다. 그렇다면 소울이라는 단어는 그저 새로운 스타일의 가요를 포장하기 위한 상술이었을까. 대답은 찾을 수 없다. 그렇지만 ‘펄 시스터즈의 소울은 가짜고 레이 찰스(Ray Charles)와 샘 쿡(Sam Cook)을 모창하는 것이 진짜’라고 말하는 것도 우습기는 하다. 한국에서 히트한 ‘가요’는 좋은 가요든 나쁜 가요든 늘 이렇게 ‘잡종’이었다. 20020916 | 송창훈 anarevol@nownuri.net 0/10 P.S. 1. 이 음반의 A면은 다른 음반과 합본 형식으로 곧 CD로 재발매될 예정이라고 한다. 가급적이면 ‘원본 그대로’ 발매되기를 바라는 마음이지만… 2. 신중현은 최근의 인터뷰에서 “소울이라는 음악 장르는 없고…흑인들이…”라는 식으로 말했다. 다음 호에 실릴 인터뷰를 참고하라. 수록곡 Side A 1. 님아 2. 커피 한잔 3. 떠나야할 그 사람 4. 두 그림자 5. 비밀이기에 6. 알고 싶어요 Side B 1. 샌프란시스코에선 머리에 꽃을 꽂으세요 2. 하얀 집 3. 왜 날 울려놓고 4. 내 꿈을 이루어주오 5. 준비하세요 6. 지난 그 시절 관련 글 소울 앤 싸이키 폭발: 한국 그룹사운드의 잊혀진 황금기의 시작 1969-71 (上) – vol.4/no.19 [20021001] 록 기타리스트의 선구자 김홍탁과의 대화 – vol.4/no.18 [20020916] 이정화(덩키스) [싫어/봄비] 리뷰 – vol.4/no.18 [20020916] 김추자 [늦기 전에/월남에서 돌아온 김상사] 리뷰 – vol.4/no.18 [20020916] 퀘션스 [여보세요_그대는 바보(신중현 작편곡집)] 리뷰 – vol.4/no.18 [20020916] 양미란/히 화이브 [양미란과 히 화이브의 Soul Sound(정민섭 작곡집)] 리뷰 – vol.4/no.18 [20020916] 히 화이브/쥰 시스터즈 [Hey Jude / Come Back(김인배 편곡집)] 리뷰 – vol.4/no.18 [20020916] 히 화이브/이승재 [그 언제일까/눈동자] 리뷰 – vol.4/no.18 [20020916] 키 보이스 [Key Boys’ Soul & Psychedelic Sound] 리뷰 – vol.4/no.16 [20020816] 키 보이스 [보칼 No.1 키 보이스 특선 2집] 리뷰 – vol.4/no.16 [20020816] 관련 사이트 코너 뮤직: 한국 록과 포크 음악 사이트 http://www.conermusic.com 한국 록 음반 연구회 http://cafe.daum.net/add4 [주간한국] 최규성 기자의 펄 시스터즈 바이오그래피(上) http://www.hankooki.com/whan/200110/w2001102418290561510.htm [주간한국] 최규성 기자의 펄 시스터즈 바이오그래피(下) http://www.hankooki.com/whan/200111/w2001110111261061510.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