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rge Harrison | All Things Must Pass | EMI, 1970 억눌린 욕망의 폭발적인 발산 조지 해리슨(George Harrison) 역시 존 레논(John Lennon)이나 폴 매카트니(Paul McCartney)와 마찬가지로 비틀스(The Beatles) 해산 직후인 1970년도에 솔로 데뷔 앨범을 내놓았다. 이 앨범은 그가 레논-매카트니 콤비에 눌려 지내왔던 한을 한꺼번에 풀어버리겠다는 야심이 두드러지는 작품이다. 이 점은 이 앨범을 위해 만들어진 밴드의 규모에서부터 쉽게 감지된다. 레논이 그의 첫 작품을 오노 요코(Yoko Ono)와 링고 스타(Ringo Starr), 그리고 베이시스트 클라우스 포어만(Klaus Voormann)으로 이루어진 단촐한 편성으로 만들었고 – 빌리 프레스톤(Billy Preston)과 필 스펙터(Phil Spector)는 각각 한 곡씩에만 참가하였다, 매카트니 역시 부인 린다 매카트니(Linda McCartney)와의 공동작업으로만 첫 앨범을 완성시켰던 반면, 해리슨은 엄청난 규모의 세션맨들을 동원한 초 대작을 만들어냈다. 이 앨범에는 이후 데릭 & 더 도미노스(Derek & the Dominos)로 발전하게 되는 짐 고든(Jim Gordon), 바비 휘트록(Bobby Whitlock), 칼 래들(Carl Radle), 레논의 앨범에서도 연주했던 링고 스타와 클라우스 포어만, 이후 예스(Yes)의 드러머로 활동하게 되는 알란 화이트(Alan White), 일급 키보드 연주자들인 개리 라이트(Gary Wright), 빌리 프레스톤(Billy Preston), 개리 브루커(Gary Brooker), 트래픽(Traffic)의 기타리스트 데이브 메이슨(Dave Mason), 그리고 그의 수제자들인 배드핑거(Badfinger) 등이 총출동하였다. 이 앨범은 이러한 외관상의 위용만 화려한 것이 아니다. 여기에는 표절곡의 대명사인 “My Sweet Lord”를 비롯하여, “Isn’t It A Pity”, “What Is Life?”, “Beware Of Darkness”, “All Things Must Pass”, 그리고 밥 딜런(Bob Dylan) 원곡의 “If Not For You”까지 그가 솔로 뮤지션으로서 발표한 최고의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비틀스의 앨범들마다 한두곡씩 밖에 기여하지 못하던 그로서는 비틀스에서의 생활이 몹시 답답했을 법도 하다. 그 답답함을 해소라도 하듯 그는 이 앨범에서 미친 듯이 멜로디를 쏟아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이것으로도 성이 안찼는지 자신의 기타리스트로서의 역량마저도 마음껏 발휘하고 싶어한다. 그래서 그는 이 더블 앨범의 두번째 음반에서 무려 30분 이상의 분량을 잼 세션에 할애하고 있다. 이처럼 이 앨범은 형식과 내용 모두에 있어서 죠지 해리슨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역작이다. 그러나 굳이 더블 앨범을 고집할 필요가 있었나 하는 의문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그의 진면목은 첫 번째 음반에 모두 담겨있고, 두 번째 음반은 대부분 불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음반에서 그는 마치 자신이 에릭 클랩튼(Eric Clapton)이나 된 것처럼 폼을 잡고 있는데, 그가 클랩튼이 아닌 만큼 그의 연주에서 건질 것은 별로 없다. 하나 재미있는 것은 이 앨범에서 나타나는 그의 행보가 존 레논의 솔로 데뷔 앨범에 나타난 것과 정반대의 방향을 향하고 있다는 점이다. 레논이 하레 크리슈나(Hare Krishna)에 대해 냉소적인 태도를 보인 반면(“I Found Out”), 그는 독실함을 저버리지 않고 있고(“My Sweet Lord”), 레논이 밥 딜런을 믿지 않는다고 외친데 반해(“God”), 해리슨은 딜런과 직간접적으로 관계되는 곡을 세 개나 수록하고 있다(딜런 곡의 커버, 딜런과 함께 만든 곡, 딜런에 대한 오마주-어떤 곡들인지는 각자 찾아보기 바란다). | 이기웅 keewlee@hotmail.com Rating: 8/10 수록곡1. I’d Have You Anytime2. My Sweet Lord3. Wah-Wah4. Isn’t It A Pity (Version One)5. What Is Life6. If Not For You7. Behind That Locked Door8. Let It Down9. Run Of The Mill10. Beware Of Darkness11. Apple Scruffs12. Ballad Of Sir Frankie Crisp (Let It Roll)13. Awaiting On You All14. All Things Must Pass15. I Dig Love16. Art Of Dying17. Isn’t It A Pity (Version Two)18. Hear Me Lord19. Out Of The Blue20. It’s Johnny’s Birthday21. Plug Me In22. I Remember Jeep23. Thanks For The Pepperoni 관련 글Intro: 페퍼 상사의 클럽 앞에서 – vol.4/no.18 [20020916]“내비둬(Let It Be)” – vol.4/no.18 [20020916]비틀스가 있어 행복했던, 행복한, 행복할 인생이여 – vol.4/no.18 [20020916]The Beatles [Please Please Me] 리뷰 – vol.4/no.18 [20020916]The Beatles [With The Beatles] 리뷰 – vol.4/no.18 [20020916]The Beatles [A Hard Day’s Night] 리뷰 – vol.4/no.18 [20020916]The Beatles [Beatles for Sale] 리뷰 – vol.4/no.18 [20020916]The Beatles [Help!] 리뷰 – vol.4/no.18 [20020916]The Beatles [Rubber Soul] 리뷰 – vol.4/no.18 [20020916]The Beatles [Revolver] 리뷰 – vol.4/no.18 [20020916]The Beatles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리뷰 – vol.4/no.18 [20020916]The Beatles [Magical Mystery Tour] 리뷰 – vol.4/no.18 [20020916]The Beatles [The Beatles (White Album)] 리뷰 – vol.4/no.18 [20020916]The Beatles [Abbey Road] 리뷰 – vol.4/no.18 [20020916]The Beatles [Let It Be] 리뷰 – vol.4/no.18 [20020916]The Beatles [1] 리뷰 – vol.4/no.18 [20020916]John Lennon [John Lennon/Plastic Ono Band] 리뷰 – vol.4/no.18 [20020916]Paul McCartney [McCartney] 리뷰 – vol.4/no.18 [20020916]George Harrison [All Things Must Pass] 리뷰 – vol.4/no.18 [20020916]Ringo Starr [Ringo] 리뷰 – vol.4/no.18 [20020916] 관련 사이트비틀스 공식 사이트 http://www.beatl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