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711054226-0414carmenlinaresCarmen Linares – Desde El Alma – World Network, 1994

 

 

강렬한 리듬 속에서 표현되는 두엔데(duende)

언젠가 한번 언급했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독일에 소재한 월드 네트워크(World Network) 레이블은 파리나 런던에 소재한 레이블들에 비해서도 ‘순수’ 월드 뮤직을 추구한다. 무슨 말이냐 하면 ‘무늬만 토속음악이고 알맹이는 번드르르한 팝’인 월드 뮤직 음반들과는 달리 ‘자연 그대로의 사운드’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월드 네트워크 레이블이 스페인의 월드 뮤직에서 선택한 음악인은 플라멩꼬 가수인 까르멘 리나레스(Carmen Linares)다. 이른바 혼도(jondo) 스타일의 가창의 대가로 꼽히는 그녀의 노래는 플라멩꼬 특유의 정서인 두엔데(duende)를 표현하는데 적임자로 정평있다.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으로 두엔데를 설명하는 글을 보면 마치 포르투갈의 파두의 정서인 사우다드(saudade)처럼 ‘영어로는 정확한 단어가 없다’는 말이 반드시 수반된다. ‘완전히 버림받았을 때의 감정’이라는 식의 부연이나 블루스의 정서와도 상통한다는 비유도 종종 등장한다. 이런 두엔데의 감정은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협연하는 음반보다는, 이 음반처럼 최소의 기악편성 위에서 연주할 때 더욱 잘 표현된다(까르멘 리나레스는 실제로 뉴욕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일이 있다).

빠꼬 꼬르떼스(Paco Cortes)와 미겔 앙헬 꼬르떼스(Miguel Angel Cortes)가 연주하는 두 대의 기타와 헤수스 에레디다(Jesus Heredida)가 연주하는 퍼커션이 음반 세션에 참여한 악기의 전부이다. 그렇지만 이런 편성만 가지고도 플라멩꼬 특유의 리듬은 충분히 정열적이다. 플라멩꼬 기타를 듣고 있으면 ‘같은 악기라도 영미 계통의 기타와는 해석이 다르다’고 생각할 때가 많은데, 이 음반을 듣고 있으면 그런 생각이 더욱 짙어진다. 리듬과 멜로디의 구분 없이, 나아가 백킹과 솔로의 구분도 없이 기타가 만들어내는 리듬은 자유로우면서도 어떤 패턴을 만들어낸다. 나아가 아랍 음악으로부터 영향받은 선법(이른바 ‘프리지언 선법’)은 ‘도레미파솔라시도’로 이루어진 서양 음악의 음계와는 상이한 느낌을 던진다.

까르멘 리나레스는 악기들이 만들어내는 자유로운 리듬에 맞서 그만큼 아니 그보다 더 자유롭게 노래한다. 가슴 속 깊은 곳의 고통을 토해내면서도 따뜻한 배려가 담긴 목소리는 악기음들을 녹여 버리고, 아니면 그 스스로 하나의 악기가 된다. 고음부에서 강렬하게 터뜨리는 창법이나 저음에서 풍부하게 깔아주는 창법 모두에 능한 목소리는 가히 ‘신이 내린’ 것만 같다. 라이브를 레코딩한 트랙을 듣고 있으면 별도의 스튜디오 레코딩은 불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트랙마다 음악의 장르가 앞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각 장르가 어떤 음악 스타일인지를 설명할 필요는 없겠지만 판당고(fandango)나 말라게나스(malaguenas), 세기리야(seguiriya)라고 부르는 안달루시아의 오래된 춤이자 노래이자 시(詩)의 형식들이 있고, 땅고(tango)나 띠엔또스(tientos)처럼 남미로부터 역수입된 형식들도 있고, 불레리아스(bulerias)처럼 비교적 새로운 스타일도 있다. 스타일의 차이로 인해 모든 트랙이 감상으로 적격이지만, ‘깊고 구슬픈 절규(deep and plaintive cries)’로 유명한 세기리야 스타일의 “Sin Apelacion”는 파키스탄의 누스라테 파테 알리 한(Nusrat Feteh Ali Khan)과 더불어 음악을 들으면서 경건함을 느끼는 드문 경험일 것이고, 불레리아스 스타일의 “A Mi Lucia”는 다소 세속적이지만 ‘다이내믹’하다는 점에서는 가장 뛰어난 곡이다. 기타의 미묘하고 섬세한 연주를 감상하고 싶으면 “Ni a Tiros”를, 변덕스러울 정도의 다양한 보컬의 표현력을 듣고 싶으면 “Por Que la Lunita Crece”를 선택하면 만족할 것이다.

이 모든 사운드가 너무 어렵다거나 졸립다면 집시 킹스를 들으면 된다. 그렇지만 이 음반을 듣고 나서 집시 킹스(Gipsy Kings)를 들으면,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Buena Vista Social Club)을 듣고 리키 마틴(Ricky Martin)을 듣는 기분과 비슷할 것이다. 어느 쪽이 더 좋은가(혹은 덜 싫은가)는 각자의 취향에 달렸지만. 20020710 | 신현준 homey@orgio.net

9/10

수록곡
1. Fandangos de Huelva (Ya No Mi Nina)
2. Malaguenas y Rondena (Ni a Tiros)
3. Tangos (Por la Calle Vienen)
4. Seguiriyas (Sin Apelacion)
5. Romeras (De Que Te Sirve el Saber)
6. Martinetes (Por Que la Lunita Crece)
7. Tientos (Acordanome de Ti)
8. Cartagenera y Taranta (Adonde Vamos Dios Mio)
9. Bulerias (A Mi Lucia)

관련 글
월드컵 스페셜 : 동아시아에서 눈물 지은 나라들 편(3) – 스페인 – vol.4/no.14 [20020716]
Marina Rossell [Y Rodara El Mundo] 리뷰 – vol.4/no.14 [20020716]
Jarabe de Palo [Depende] 리뷰 – vol.4/no.14 [20020716]
Andres Calamaro [Honestidad Brutal] 리뷰 – vol.4/no.14 [20020716]
Cooper [Fonorama] 리뷰 – vol.4/no.14 [20020716]
La Casa Azul [El Sonido Efervescente] 리뷰 – vol.4/no.14 [20020716]
La Buena Vida [Hallelujah!] 리뷰 – vol.4/no.14 [20020716]
La Buena Vida [Gran Panorama] 리뷰 – vol.3/no.13 [20010701]
Migala [Arde] 리뷰 – vol.3/no.4 [20010216]

관련 사이트
[Flamenco World]에서의 Carmen Linares 소개
http://www.flamenco-world.com/autores/autores.sql?idautor=16&apartado=Cantaores
[World Music Portal]에서의 Carmen Linares 소개
http://www.worldmusicportal.com/Artists/European/Spanish%20Artists/carmenlinares.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