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711052459-0414cooperCooper – Fonorama – Elephant, 2000(국내 수입 Ales Music, 2002)

 

 

범세계적 틴에이지 기타 팝이여, 영원하라!

쿠퍼(Cooper)는 알레한드로 디에스(Alejandro Diez)의 솔로 프로젝트다. 그는 로스 플레차조스(Los Flechazos)라는 밴드를 이끌면서 1980년대 중반부터 활동한 존재인데, 이런 사실이 몇 일 전만 해도 금시초문이었던 사람으로서 이 음반을 리뷰하는 것은 적절치 못해 보인다. 엘리펀트 레이블의 소개에 의하면 로스 플레차조즈는 “기타와 보컬을 맡은 알레한드로 디에스의 기타와 해먼드 오르간을 맡은 엘레나 이글레시아스(Elena Iglesias)가 이끄는 ‘모드 밴드(mod band)'”였으며, 이들의 사운드는 “후(The Who), 이지비츠(Easybeats, Creation), 킹크스(The Kinks) 등 셸 탤미(Shel Talmy)가 프로듀스한 1960년대 중반의 영국 밴드와 맥코이스(McCoys), 모즈(Mauds), 영 래스컬스(Young Rascals), 스탠델스(Standells) 등 미국의 블루 아이드 소울(blue-eyes soul) 사운드의 혼합”이라고 한다(참고로 1960년대 중반 영국에서 모드 문화와 (미국의) 소울 음악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영국에서 나온 문화연구 관련 서적을 몇 권만 뒤지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이런 사실을 알든 모르든 쿠퍼(Cooper)의 음악은 한국에서 ‘모던 록’이나 ‘브릿 팝’이라고 부르는 음악의 정의에 가장 잘 부합한다. 물론 저 용어들이 본토에서 어떤 용법으로 사용되는가는 조금 무시하고 하는 말이다. 말하자면 ‘스페인어 가사로 부르는 영국풍 사운드’다. 알레한드로 디에스의 애칭이 알렉스(Alex)라는 영국식 이름이라는 점도 사소하지 않은 정보일 것이다. 그리고 이때 ‘영국풍’이라는 단어는 단지 사운드의 국적이 아니라 영국 청년문화 특유의 사내다움(laddishness)이라는 기호를 내포한다.

그래서 처음 들었을 때는 스톤 로지스(Stone Roses)나 오아시스(Oasis)를 벤치마킹한 사운드에 아주 큰 감흥을 느끼지는 못할지도 모른다. 플레차조스 시절과 비교할 때 오르간 사운드가 사라졌다는 점은 알렉스 디에스의 경력을 아는 사람에게는 중요한 정보일지 모르지만 나 같은 문외한에게는 오리무중이다. 하지만 이건 이런 사운드에 너무 익숙하기 때문에 나오는 불평일 것이다. 게다가 그가 유행에 편승한 것도 아니고 이들 영국의 동료나 후배들보다 먼저 이런 길을 걸어왔다면 이런 반응은 부당하다. 그래서 적당히 빠른 템포 위에서 보컬은 상큼한 낑낑거림(이른바 ‘whining’)으로 선명한 멜로디를 부르고 후렴구에는 어김없이 보컬 코러스가 등장한다. 기타 한 대는 선 굵은 라인을 뽑아내고 다른 한 대는 능숙한 피킹으로 아르페지오 백킹을 해댄다. 이런 스타일의 음악을 듣고 있으면 ‘정형화되어 있고 상투적이다’라는 핀잔보다는 ‘시공을 초월하여 영원하다’는 감탄이 앞선다. 각 트랙이 엇비슷한다는 아쉬움도 ‘비슷한 악곡 형식과 코드 진행을 가지고도 저렇게 여러 곡을 작곡할 수 있다니’라는 감탄을 낳게 된다. “Es tarde”에서는 현악기 편곡이, “El rascacielos”에서는 샘플러를 이용한 전자음향이 삽입된 것은 상큼한 향기를 더해 준다.

음악의 국적에 대한 시비는 무시하자. 그런데 이미 30줄에 접어든 인물이 ‘틴에이지 팝’을 한다는 것은? 아, 그건 말이죠. 사회 전반의 고령화 추세에 따라 과거의 10대는 지금의 20대와 비슷하고, 미래에는 30대와 비슷할 것이기 때문에 별 문제 없습니다. 그러니 당분간 30대라도 틴 스피릿의 향기를 풍기며 사는 일은 그리 이상한 일은 아닐 것입니다. 그러면 구호로 정리합시다. 틴에이지 팝이여, 영원하라! 20020709 | 신현준 homey@orgio.net

7/10

수록곡
1. Un nudo en la garganta
2. Tecnicolor
3. Cuando duerme junto a mi
4. Buzo
5. Imposible
6. Vertigo
7. Avenida de cristal
8. Rascacielos
9. Diciembre
10. En el parque
11. Es tarde

관련 글
월드컵 스페셜 : 동아시아에서 눈물 지은 나라들 편(3) – 스페인 – vol.4/no.14 [20020716]
Carmen Linares [Desde Alma: Cante Flamenco en vivo] 리뷰 – vol.4/no.14 [20020716]
Marina Rossell [Y Rodara El Mundo] 리뷰 – vol.4/no.14 [20020716]
Jarabe de Palo [Depende] 리뷰 – vol.4/no.14 [20020716]
Andres Calamaro [Honestidad Brutal] 리뷰 – vol.4/no.14 [20020716]
La Casa Azul [El Sonido Efervescente] 리뷰 – vol.4/no.14 [20020716]
La Buena Vida [Hallelujah!] 리뷰 – vol.4/no.14 [20020716]
La Buena Vida [Gran Panorama] 리뷰 – vol.3/no.13 [20010701]
Migala [Arde] 리뷰 – vol.3/no.4 [20010216]

관련 사이트
Elephant 레이블 공식 사이트(스페인어 및 영어)
http://www.elefant.com/
Elephant 레이블 사이트에서의 Cooper 소개(영어)
http://www.elefant.com/05egrupos/coopertop.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