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116023920-0402fela-7-armyarrangementFela Anikulapo Kuti – Army Arrangement – Celluloid, 1985/1997

 

 

아프로비트, ‘1980년대’에 적응하다

1979년부터 1983년까지 짧은 ‘문민정부’ 시기를 끝낸 뒤 나이지리아는 다시 한번 군부정권을 맞이한다. 1997년까지 지속된 군부 정권은 1970년대보다 더 포악하고 악랄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펠라는 1984년 ‘외화 도피’라는 미심쩍은 행위로 공항에서 체포되어 다시 한번 2년간 투옥되었다. 이 작품은 정치적 박해의 빌미를 제공해준 작품이 되었다. 이유는 제목의 타이틀을 보면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음반을 들으면서 보다 중요한 점은 이런 정치적 컨텍스트보다는 1980년대의 펠라의 음악이 1970년대에 비해 어떤 변화를 보였는가 일 것이다. 가장 먼저 들어오는 변화는 음색의 변화다. 무엇보다도 “Government Chicken Boy”에서 인트로를 장식하는 악기음은 ‘오르간’이라기보다는 ‘신시사이저’라는 말에 어울리는 음색이다. 나아가 드럼의 톤이나 주법도 이전과 다르다. 아프리카 70(Africa 70)에서 드럼을 연주한 토니 알렌(Tony Allen)의 드러밍이 재즈 스타일에 가까웠다면 이 앨범에서 드럼을 연주한 인물들의 드러밍은 록 스타일에 가깝다. “Army Arrangement”에서 필인으로 등장하는 톰톰 소리는 마치 ‘드럼 머신처럼’ 들린다. 또한 “Cross Examination”의 무표정한 베이스 라인은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의 “Billy Jean”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물론 잠시 동안만 그렇고 다시 들어보면 좀 다르다.

한 마디로 이 작품은 ‘1980년대적’이다. 레코딩 및 프로듀싱과 관련된 테크놀로지의 이런 저런 변화가 1970년대의 레코딩들을 낡은 사운드로 들리게 할 무렵 새로운 실험을 단행한 것이다. 서양의 록 스타들의 경우 이런 실험은 어색하게 끝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음반의 경우도 이런 어색함을 크게 불식시키지는 못한 것으로 들린다. 이는 1980년대 초의 프로듀싱의 대세가 대중음악의 ‘인공성(artificiality)’을 강화시키는 방향을 취했는데, 이런 점은 어떤 방식이로든 진정성(authenticity)을 확보해야 하는 아티스트에게는 그리 적절한 방향이 아니었다. 몇몇 선각자들은 이를 자기 패러디로 활용하는 지혜를 보였지만, 이는 북아메리카나 유럽에 사는 아티스트에게나 해당되는 옵션일 뿐 펠라처럼 나이지리아라는 험악한 상황에서는 해당사항이 없다.

이런 상황이 이 앨범과 연관된 에피소드를 음미해보는 일은 그리 음악과 무관한 일은 아닐 것이다. 이 앨범은 처음에 뉴욕 언더그라운드에서 활동하는 빌 래스월(Bill Laswell)이 프로듀서를 맡고, 그가 소유한 레이블 셀룰로이드에서 발매되었다. 그는 덥 프로듀서 슬라이 던바(Sly Dunbar), 훵크 프로듀서 버니 훠렐(Bernie Worrel) 등의 손으로 믹싱하겠다고 펠라에게 제안했는데, 펠라는 이에 대해 “서양의 식민지적 취향”에 영합하는 것이라고 격노하면서 거절했다고 한다. 물론 평자에 따라서는 오리지널 버전보다 믹스 버전이 낫다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사정이 어찌 되었든 래스월처럼 언더그라운드 성향의 프로듀서의 시도조차도 ‘식민지적’이라고 몰아붙인 것으로 보아 1980년대의 ‘인공적 프로듀싱’이 펠라의 취향에는 맞지 않았던 모양이다. 이런 모든 이야기는 당시 감옥에 있던 펠라에게는 사치스러운 이야기겠지만. 20020114 | 신현준 homey@orgio.net

6/10

* 원래 레코딩은 1984년에 나왔으며, 1997년에 CD로 재발매된 음반에는 “Army Arrangement”를 댄스 클럽의 용도에 맞게 리믹스한 몇 개의 버전이 추가되었다.

수록곡
1. Cross Examination
2. Government Chicken Boy
3. Army Arrangement
4. Army Arrangement [Original Version] 5. Army Arrangement [instrumental] 6. Army Arrangement [Video Edit]

관련 글
Afro-beat Never Stands Still (1) – 나이지리아의 대중음악 – vol.2/no.6 [20000316]
Afro-beat Never Stands Still (2) – 펠라 쿠티 & 아프로비트 – vol.2/no.7 [20000401]
Afro-beat Never Stands Still (3) – 다시 아프리카로 – vol.2/no.8 [20000416]
Afro-beat Never Stands Still (4) – 아프로비트의 국제화(1) – vol.4/no.2 [20020116]
Fela Ransome Kuti & Nigeria 70 [The ’69 Los Angeles Sessions] 리뷰 – vol.4/no.2 [20020116]
Fela Ransome Kuti & the Africa 70 with Ginger Baker [Live!] 리뷰 – vol.4/no.2 [20020116]
Fela Anikulapo Kuti & Africa 70 [Yellow Fever / Na Poi] 리뷰 – vol.4/no.2 [20020116]
Fela Anikulapo Kuti [Shuffering And Shmiling / No Agreement] 리뷰 – vol.4/no.2 [20020116]
Fela Anikulapo Kuti & Africa 70 [V.I.P. / Authority Stealing] 리뷰 – vol.4/no.2 [20020116]
Fela Anikulapo Kuti with Roy Ayers [Music Of Many Colours] 리뷰 – vol.4/no.2 [20020116]
Fela Anikulapo Kuti & Egypt 80 [Beasts Of No Nation] 리뷰 – vol.4/no.2 [20020116]
Fela Kuti [The Best Best Of Fela Kuti] 리뷰 – vol.4/no.2 [20020116]

관련 사이트
MCA 레코드사 – 펠라 쿠티 페이지
http://www.mcarecords.com/ArtistMain.html?ArtistId=237
펠라 쿠티 관련 기사 “From the foot of The Shrine”
http://www.afribeat.com/archiveafrica_fela.html
펠라 쿠티 상세 디스코그래피
http://biochem.chem.nagoya-u.ac.jp/~endo/EAFela.html
펠라 쿠티의 죽음을 다룬 기사 “Africaman Original” (Carter Van Pelt)
http://incolor.inetnebr.com/cvanpelt/Felaweb/africaman.html
MCA Records의 쿠티 부자 음반 발매 관련 기사 [Urban Spectrum on the Web] http://www.urbanspectrum.net/music.html
페미 쿠티 인터뷰 [Ink Blot Magazine] http://www.inkblotmagazine.com/Interviews/int_Femi_Kuti.htm
페미 쿠티 관련 기사 [BostonHerald.com] http://www.bostonherald.com/entertainment/music/katz11022001.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