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031113226-0321pearljam_vitalogyPearl Jam – Vitalogy – Epic/Sony, 1994

 

 

짧지만 풍요로웠던 얼터너티브 록의 마지막 영광

책 형태로 만들어진 음반 케이스와 부클릿만큼이나 이 앨범의 사운드는 새롭고 또 낯설다. 커트 코베인의 갑작스러운 죽음에 누구보다도 충격이 컸을 펄 잼(Pearl Jam)은 미디어와 청중의 기대감이나 관심으로부터 더더욱 한발 물러선다. 그래서 세 번째 앨범인 [Vitalogy]는 이들로선 보기 드물게 다양하고 실험적인 음악을 들려준다. 일단 부담스러운 기타 솔로가 없고 앨범 전체에 복고적이면서 신비로운 기운이 넘친다. 갈겨쓴 가사와 더불어 ‘생기학’이란 이름 하에 (건강, 낙태, 악몽, 자위, 출산, 결혼 등에 관한) 여러 글과 삽화/사진을 수록한 부클릿 역시 수수께끼다. 물론 밴드는 뮤직 비디오 제작을 비롯하여 어떠한 앨범 홍보 작업도 하지 않았다. 밴드의 이름값 덕분에 가뿐하게 멀티 밀리언셀러를 기록하긴 했지만.

[Vs.]에서도 스피디한 펑크 스타일과 느긋한(laid-back) 컨트리 스타일이 공존했는데, 이 앨범에서 스타일상의 구별은 더욱 심화된다. 그래서 “Spin The Black Circle”처럼 스트레이트한 록은 더욱 광폭해지고, “Betterman”과 “Nothingman”처럼 느린 템포의 곡은 마치 다음 앨범을 예고라도 하는 듯 스피리추얼한 기운마저 풍긴다. 그리고 그 가운데 전형적인 펄 잼 스타일의 로큰롤이 완성된다. “Not For You”와 “Satan’s Bed”, 그리고 “Corduroy”까지.

하지만 무엇보다 이채로운 것은 앨범 중간 중간에 들어간 1-2분 남짓한 이질적인 트랙들이다. “Pry, To”, “Bugs”, “Aye Davanita”가 그 예인데, 훵키한 맛을 느끼게 하는 깔짝거리는 기타, 아코디언, 블루스 잼 등이 담겨있다. 7분이 넘는 마지막 곡 “Stupid Mop”은 일종의 사운드 콜라주로, 신경을 거슬리게 하는 기타 연주와 공포영화에 나올 법한 목소리가 병렬된 기이한 곡이다. 이처럼 이례적인 스타일을 트랙 곳곳에 배치함으로써 원래 펄 잼이 갖고 있던 심각하고 무거운 이미지를 상쇄시키는 효과를 거두고 있는데, 이는 대체로 성공적인 시도로 보인다.

또 하나 주목할 것은 놀랍게 성장한 에디 베더의 역량이다. “Tremor Christ”와 “Satan’s Bed”에 나타난 성서적 은유에서 보듯 이제 그는 자신의 체험 쓰기에서 한발 물러나 거리를 두고 바라보는 여유를 얻게 되었다(“작고 비밀스러운 떨림은 지진처럼 변모하고 / 조그마한 대양은 여전히 커다란 파도를 만들고” – “Tremor Christ” 중). 앨범 곳곳에 스며든 명성에 관한 회의(“Corduroy”), 상실된 사랑과 공허함의 묘사(“Nothingman”)로 인해 [스핀(Spin)]지는 그에게 록계의 레이먼드 카버(Raymond Carver)라는 별칭을 붙인 바 있다.

또한 그의 목소리는 “Corduroy”에서는 터프한 미국인처럼, “Satan’s Bed”에서는 짓궂고 유머러스하게, “Immotality”에서는 최대한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Nothingman”에서는 소울풀하게 노래한다. 그 중에서도 모던 록 차트에서 큰 인기를 얻은 “Betterman”은 주목할 만하다. 불길하게 흐느끼는 기타 소리로 시작하여, 오르간을 배경으로 일렉트릭 기타 반주로 노래하는 1절에 이어, 풀 밴드 반주로 진행되는 활기찬 2절, 여기에 브루스 스프링스틴 식의 배킹 보컬이 살짝 겹치는 대목까지 그의 목소리의 섬세한 변화를 주목해서 들어보자.

이 앨범에서 펄 잼은 음악적 야심에 걸맞는 무르익은 음악성을 보여준다. 여전히 강렬한 파워와 아름다운 선율, 무겁지 않은 실험과 매혹적인 훅을 적절하게 겸비한 이 앨범은 스스로의 음악을 음미하며 즐기는 자만이 낼 수 있는 사운드를 들려준다. 또한 밴드 자체로서는 대중성과 타협하지 않으면서 상업적 보상도 받은 행복한 시절의 마지막 앨범이었고, 짧지만 풍요로웠던 얼터너티브 록 시대의 마지막을 장식한 걸작이기도 했다. 20011030 | 장호연 bubbler@naver.com

9/10

수록곡
1. Last Exit
2. Spin The Black Circle
3. Not For You
4. Tremor Christ
5. Nothingman
6. Whipping
7. Pry, To
8. Corduroy
9. Bugs
10. Satan’s Bed
11. Betterman
12. Aye Davanita
13. Immortality
14. Stupid Mop

관련 글
Pearl Jam [Ten] 리뷰 – vol.3/no.21
Pearl Jam [Vs.] 리뷰 – vol.3/no.21 [20011101]
Pearl Jam [Binaural] 리뷰 – vol.2/no.16 [20000816]
그런지 폭발 10주년에 부치는 초라한 정리 – vol.3/no.21 [20011101]
Mudhoney [Every Good Boy Deserves Fudge] 리뷰 – vol.3/no.21 [20011101]
Nirvana [Nevermind] 리뷰 – vol.3/no.21 [20011101]
Nirvana [In Utero] 리뷰 – vol.3/no.21 [20011101]
Soundgarden [Badmotorfinger] 리뷰 – vol.3/no.21 [20011101]
Soundgarden [Superunknown] 리뷰 – vol.3/no.21 [20011101]
Alice in Chains [Dirt] 리뷰 – vol.3/no.21 [20011101]
Melvins [Stoner Witch] 리뷰 – vol.3/no.21 [20011101]

관련 영상

“Betterman” Live

관련 사이트
http://rakkan.com/pearljam
한 팬이 만든 펄 잼 사이트. 가사에 대한 해석을 담은 것이 이채롭다.
http://www.fivehorizons.com/index.shtml
펄 잼의 팬진으로 콘서트에 관한 자료와 아티클 모음이 볼 만하다.
http://www.freechal.com/pearljam
펄 잼 한국 팬 사이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