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1031080411-0321zvukiZvuki Mu – Zvuki Mu – Opal. 1989

 

 

소비에트 사회에 대한 부조리 악극(樂劇) 혹은 떼아뜨리컬 록(theatrical rock)

즈부끼 무(Zvuki Mu)는 1980년대 말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하기 직전 서방 세계에서 ‘러시안 록’을 대표한 밴드다. 이때 그 의미는 ‘아방가르드하고 풍자적인 카바레 록’이라는 의미다. 이 음반은 이들의 ‘국제적’ 데뷔작이고, 브라이언 이노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레이블 역시 브라이언 이노를 비롯하여 해롤드 버드(Harold Budd), 휴고 라르고(Hugo Largo), 존 케일(John Cale) 등 ‘아방가르드’로 부를 수 있는 뮤지션들의 음반을 주로 발표하는 오팔(Opal) 레이블이었으므로 번지수도 잘 찾은 셈이다(그에 비하면 메이저 레이블인 CBS와 계약했던 보리스 그레벤쉬꼬프와 아끄바리움은 번지수를 잘못 찾은 듯하다).

즈부끼 무는 1984년에 이르러서 첫 무대를 가질 정도로 늦깎이 밴드에 속한다. 다행히도(?) 리더인 뾰뜨르 마모노프(Pyotr Mamonov: 1951년생)의 술취한 듯 혹은 간질에 걸린 듯한 괴상한 무대 매너로 당시 모스끄바의 언더그라운드를 이끌었다. 마치 초기 토킹 헤즈의 데이비드 바이언(David Byrne)을 연상시킬 정도의 ‘쇼맨십’을 가진 마모노프는 본인 표현으로 ‘러시아의 민속적 환각(Russian folk hallucination)’을 표현하는 ‘연극적(theatrical)’인 무대로 유명했다(고 한다).

이런 평가는 음반을 들으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관심을 끄는 것은 동일한 패턴의 리듬이 반복되는 ‘미니멀리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반복적 리듬은 “Sumasshedshaya Koroleva(Crazy Queen)”처럼 신묘한 기타 피킹이 담당할 때도 있고, “Ezhednevniye Geroi(Everyday Hero)”처럼 노이지한 효과음향이 담당할 때도 있다. “Istochnik Zaraziy(The Source Of Infection)”, “Otvyazhis’!(Leave Me Alone!)”, “Zima(Winter)”같은 경우는 본격적 댄스 리듬을 원용한 신나는 곡도 있고(러시아판에는 마지막 트랙으로 “Zima(Winter)”의 댄스 리믹스가 수록되어 있다), “Nol’ Minus Odin(Zero Minus One)”처럼 축축 늘어져서 우울증에 걸린 듯한 곡도 있다. 그 위에 각종 악기음과 효과음들이 덧입혀지는데 그 방식은 잘 정돈하는 식이라기보다는 병치되는 식에 가깝다. ‘장르의 영향’을 따진다면 헤비 메탈 풍의 기타 리프, 아트 록 풍의 키보드 솔로, 재즈의 색소폰 등의 요소들이 엿보이는데, 이것도 각 장르의 정통적 해석과는 딴판으로 원용되어, 코믹함과 진지함이 뒤섞인 묘한 감흥을 남긴다.

뾰뜨르 마모노프의 보컬은 그로테스크한 분장과 입에 문 거품이 연상될 정도로 주절거림과 악쓰기를 전개한다. 그건 때로 “날 내버려 둬”, “널 살게 내버려 두겠어. 너. 전염의 원천”라는 자폐적이고 허무주의적인 메시지를 낳지만 여기서도 유머와 아이러니를 읽기는 어렵지 않다(물론 가사를 읽어 봐야 되지만). 이는 “300분 동안의 자기와의 쾌락… 여자들은 계획을 만들고 어디론가 도달하고 싶어하지 / 새로운 영화 제작자들은 잊혀진 쾌락을 쳐다보는데 너무 관심이 많지”라는 섹스에 대한 비판적 시선도 마찬가지다.

술 취한 듯 비틀거리는 사운드에서 ‘보드카 싸이키델리아’를 느낄 수도 있고, 부조리한 가사와 음악에서 ‘전체주의에 대한 비판’을 도출할 수도 있겠다. 아마도 전자는 러시아 및 동구의 시선이고, 후자는 미국 및 서구의 시각일 것이다. 어느 쪽을 선택하든 ‘괴짜 아방가르드 밴드’의 아이러니와 풍자는 소비에트 사회의 실존과 너무나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었고, 따라서 그 사회의 붕괴라는 역사적 사건을 능가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 사족으로 자문하자면, 풍자와 아이러니를 넘어서는 싸움에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단지 고전적인 진지함 뿐일까. 20011029 | 신현준 homey@orgio.net

8/10

수록곡
1. Istochnik Zarazy(The Source Of Infection)
2. Sumasshedshaya Koroleva(Crazy Queen)
3. Zabytyi Seks(Forgotten Sex)
4. Nol’ Minus Odin(Zero Minus One)
5. Otvyazhis’!(Leave Me Alone!)
6. Krym(Krym)
7. Gadopyatikna(Gadopyatikna)
8. Bumazhniye Tsvetiy(Paper Flowers)
9. Ezhednevniye Geroi(Everyday Hero)
10. Zima(Winter)

관련 글
그 곳에도 ‘록의 시대’가 있었네(5): 1980년대 말 소비에트 록의 영광과 좌절 – vol.3/no.21 [20011101]
Alisa, [Blok Ada(Blockade)] 리뷰 – vol.3/no.21 [20011101]
Avia, [Vsem(For Everybody)] 리뷰 – vol.3/no.21 [20011101]
Gorky Park, [Gorky Park] 리뷰 – vol.3/no.21 [20011101]
D.D.T. [Aktrisa Vesna(Actress Of Spring)] 리뷰 – vol.3/no.21 [20011101]
Tsentr(Center), [Smutnoe Pyatno Neivestno Chego] 리뷰 – vol.3/no.21 [20011101]

관련 사이트
Zvuki Mu 공식 사이트
http://www.blackrider.com/zvukim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