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rky Park – Gorky Park – Mercury/Polygram, 1989(국내 배급은 성음, 1989) 소련제 메탈의 처음이자 마지막인 국제적 영광과 좌절 모스끄바 출신의 헤비 메탈 밴드 고르키 파크(러시아 이름은 빠르끄 고르꼬그)는 국제적으로 가장 유명한 러시아 밴드일 것이다. 1987년 결성 당시부터 ‘세계 시장 진출’을 염두에 두어 전곡을 영어 가사로 쓴 이 밴드는 모스끄바 록 음악계의 막후 실력자인 스타스 나민(Stas Namin)의 후원으로 ‘로큰롤 드림’을 실현하게 된다. 1987년 말 미국으로 가서 기타리스트 프랭크 자파(Frank Zappa)의 관심까지 얻게 되고, 존 본 조비(Jon Bon Jovi)와 리치 샘보라(Ritchie Sambora)의 도움으로 머큐리 레코드(Mercury Records)와 계약을 하기까지 승승장구였다. 그런 의미에서 이 앨범은 ‘역사적 가치’를 가지는 작품이다. 소비에트의 록 음악을 서방 세계에 알린 최초의 정규 앨범이라는 평을 인용한다면 말이다. 이 앨범의 타이틀곡이라고 할만한 첫 곡 “Bang”의 뮤직비디오는 1989년 MTV와 미국의 주류 라디오 방송에 종종 등장하던 곡이었다. 웅장한 코러스와 헤비한 기타 리프, 익숙한 멜로디가 (서방의) 하드 록의 전형을 따른다는 점에서 ‘러시아’라는 지역성(locality)을 떠올리기엔 무리가 있지만, 이 곡은 ‘소련제(製)’라는 부연만으로도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기 때문이다. 존 본 조비와 공동작업을 한 “Try To Find Me”와 “Peace In Our Time”에 가서는 이러한 ‘서방친화적’ 사운드가 보다 분명해지는데, 멜로딕한 기타 리프와 매끈한 편곡이 당시 메인스트림의 헤어 메탈(Hair Metal) 밴드들의 곡들과 차별되지 않는다. 서방세계의 뮤지션들과 함께 작업하지 않은 다른 곡들을 들어보아도 이런 느낌은 그리 크게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후(The Who)의 “My Generation”을 헤어 메탈로 커버한 곡은 1980년대 헤비 메탈 밴드들이 1960년대 록의 송가들을 종종 커버한 것과 비슷하다. 이들의 사운드가 애초부터 세계시장을 목표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재확인할 수 있는 곡이다. 고르키 파크가 1989년 본 조비(Bon Jovi), 모틀리 크루(Motley Crew), 오지 오스본(Ozzy Osbourne), 스콜피온스(Scorpions), 스키드 로우(Skid Row), 신데렐라(Cinderella)와 (러시아 밴드로는 유일하게) 어깨를 나란히 한 [Moscow Music Peace Festival]의 실황을 담은 비디오는 한국에서도 제법 인기 있던 품목이었다. 다만 ‘소비에트 메탈 밴드’ 고르키 파크 때문이 아니라 ‘소비에트에서 최초로 열린 서방의 스타 메탈 밴드들의 스타디움 공연’이라는 점 때문이었겠지만. 어쨌든 고르키 파크는 1990년에도 본 조비와 함께 미국 투어를 벌이는 등 탄탄대로를 걷는 듯했다. 그렇지만 이들의 지명도는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급속하게 식었다. 몇 장의 앨범을 발표했지만, 이들은 ‘원 히트 원더(혹은 원 앨범 원더)’로 분류되는 불운한 경력을 갖게 되었다. 왜일까. 라이트 메탈(=헤어 메탈)의 트렌드가 지나갔다는 이유를 들 수 있다. 그렇지만 그것만은 아니다. 고르키 파크가 록의 본고장에서 선전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들이 냉전 이후 미소화합 및 동서화합의 상징물로서 가지는 가치 때문이었기 때문이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냉전이 채 끝나지 않았던 시점이라는 맥락을 고려할 때 이들이 음악산업의 논리에 이용당했다는 혐의를 지우기 어렵다. 이런 혐의의 근저에는 고르키 파크의 이야기가 왠지 남의 얘기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깔려 있기 때문이다. 고르키 파크의 스토리는 그들의 음악이 ‘cheesy’하든 말든 스타가 되고자 하는 아티스트의 욕망과 그들의 욕망을 계산적으로 이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스토리다. LP 커버에 영어와 러시아로 병기된 “로큰롤은 우리의 종교다…”라는 문구가 왠지 슬퍼 보인다. 20011029 | 차우진 djcat@orgio.net 5/10 수록곡 1. Bang 2. Try To Find Me 3. Hit Me With The News 4. Sometimes At Night 5. Peace In Our Time 6. My Generation 7. Within Your Eyes 8. Child Of The Wind 9. Fortress 10. Danger 관련 글 Moscw Music Peace Festival 관련 글 http://www.powerhat.com/tusovka/mmpf.html http://www.powerhat.com/tusovka/nytimes.html 그 곳에도 ‘록의 시대’가 있었네(5): 1980년대 말 소비에트 록의 영광과 좌절 – vol.3/no.21 [20011101] Alisa, [Blok Ada(Blockade)] 리뷰 – vol.3/no.21 [20011101] Avia, [Vsem(For Everybody)] 리뷰 – vol.3/no.21 [20011101] Zvuki Mu, [Zvuki Mu] 리뷰 – vol.3/no.21 [20011101] D.D.T. [Aktrisa Vesna(Actress Of Spring)] 리뷰 – vol.3/no.21 [20011101] Tsentr(Center), [Smutnoe Pyatno Neivestno Chego] 리뷰 – vol.3/no.21 [20011101] 관련 사이트 Gorky Park 팬 사이트 http://members.aol.com/surfpapa/gorkypark/index.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