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0816023119-kino(82a)-45Kino – 45 – Moroz, 1982/1996

 

 

수공(手工)으로 만든 낭만적 게으름뱅이의 중얼거림

끼노(Kino)의 최초 앨범으로 당시 멤버는 빅또르 쪼이와 알렉세이 르이빈(Alexey Rybin) 단 두 명이었다. 앨범 이름을 ’45’로 붙인 이유는 음반의 총 연주시간이 45분이라는 단순한 이유다. 1982년에 발표된 음반에는 마지막 트랙 “Ia Aspalt(I’m the Asphalt)”가 누락되어서 연주시간이 42분이지만 CD로 발매되면서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어 45라는 타이틀에 맞는 앨범이 되었다. 사소한 사실이지만 ‘전설’을 만드려는 사람에게는 중요할 수도 있는 정보다.

음악은 러시아인 음악 동료조차 “현대의 음악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로맨틱하기 때문”이라고 말할 정도로 ‘록 음악’에 대한 일반적 이미지는 물론 ‘러시안 록’의 지배적 경향과도 거리가 있다. 통상 ‘바르드(Russian bard)’라고 불리는 블라디미르 비소쯔끼(Vladimir Vysotsky), 불라뜨 오꾸드자바(Bulat Okudzhava), 율리 낌(Yuli Kim: 그 역시 ‘까레이스끼’다)같은 음유시인들의 기타 시가(guitar poetry: 시가란 ‘詩歌’)의 고전적 멜로디를 듣는 기분이다. 영미의 음악 장르로 설명해도 ‘포크 록’이라기보다는 ‘어쿠스틱 포크’에 가깝다. 별도의 리듬 악기 없이 기타의 스트러밍 중심의 리듬이라서 ‘록 음악’을 기대하고 들은 사람은 실망스러울 지도 모른다. 일렉트릭 기타도 별로 나오지 않으며 ‘가내 수공업’으로 레코딩한 음반이라서 음질은 ‘데모 테이프 수준’이다.

한마디로 옆집에 사는 머리 기른 총각이 기타의 기본 코드를 습득한 뒤 습작으로 만든 노래들을 부르는 듯한 느낌이다(당시 빅또르 쪼이의 헤어 스타일은 ‘hairy’했다). ‘총각’이라고 표현한 것은 의식있는 청년이라기보다는 세상을 겨우 알기 시작한 소년에 가까운 남자아이의 감정에 가깝기 때문이다. 이 감정은 “게으름뱅이”라는 제목의 트랙이 두 개나 있는 사실에서 짐작할 수 있고, 첫 트랙 “시간은 있지만 돈이 없어”라는 제목 및 후렴이 가장 집약적으로 표현해 준다. 한편 전철(“Elektrichka”), 아스팔트(“Ia Aspalt”)같은 곡을 들어보면 감성은 고전적이지만 소재는 도회적이라는 것도 느낄 수 있다. 또한 “Aliuminevie Ogurtsi(Aluminium Cucumbers)”에서 말하는 ‘알루미늄 오이’는 ‘미사일’의 은유이며, 따라서 이 곡은 ‘반전가요’라는 해석도 전해져 오고 있다.

가사를 해석하면 ‘젊은 시인’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지만 그게 전부일까? 유심히 들으면 친숙하면서도 독창적인 멜로디를 만들어내는 재능이 비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앨범에서는 그 재능이 완전히 개화하지는 못했다고 해도 말이다. 여기에는 환경의 미비가 가장 큰 요인이었을 것이다. 그의 말을 들어보면서 마치자. “현대의 복제와 레코딩 테크놀로지 발전 하에서, 러시아 음악인이 전문 스튜디오에서 레코딩하여 훨씬 질좋은 음악을 제작하는 서양 음악인들과 경쟁할 수는 없다. 가사는 아마추어 음악인이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다…(중략)…만일 우리의 가사마저 빈약하다면 우리 음악을 듣을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그렇다곤 해도 영미의 ‘로파이’나 ‘거라지’에 속하는 음반을 듣고 감동하는 이른바 ‘인디 록 스노브(indierock snob)’를 자처하면서 이 음반은 ‘후지다’라고 말하면 한 입으로 두 말하는 셈일 지도 모른다. 구 소련에서 ‘아마추어’란 영미권에서 ‘인디펜던트’와 유사한 존재였으니까. 20010808 | 신현준 homey@orgio.net

8/10

수록곡
1. Vremia Est, A Deneg Net (I Have Time, But No Money)
2. Prosto Khochesh Ti Znati (You Just Want to Know)
3. Aliuminevie Ogurtsi (Aluminium Cucumbers)
4. Solnechnie Din (Sunny Days)
5. Bezdelnik #1 (The Idler #1)
6. Bezdelnik #2 (The Idler #2)
7. Elektrichka (Suburban Train)
8. Vosmiklassnitsa (Girl From 8th Grade)
9. Mon Drugia (My Friends)
10. Sitar Igral (Sitar Player)
11. Derevo (The Tree)

관련 글
Kino, [Neizvestnye Pesni (Unknown Songs)]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46]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Nachalnik Kamchatki (The Chief of Kamchatka)]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Eto Ne Lyubovy (That’s Not Love)]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Noch’ (The Night)]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Gruppa Krovi (Blood Type)]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Posledniy Geroi (The Last Hero)]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Zvezda Po Imeni Sontse (A Star Named Sun)]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Cherniy Albom (The Black Album)] 리뷰 – vol.3/no.16 [20010816]
그 곳에도 ‘록의 시대’가 있었네 (1): 빅또르 쪼이(Viktor Tsoi) – vol.3/no.16 [20010816]
이글라=러시아판 트레인스포팅 혹은 트레인스포팅=영국판 이글라 – vol.3/no.16 [20010816]

관련 사이트
빅또르 쪼이 국내 팬 사이트
http://my.netian.com/~megathon
빅토르 쪼이를 비롯한 러시아 뮤지션을 소개하고 mp3를 제공하고 있다.
빅또르 쪼이 가사번역 사이트
http://dom.xocah.org:1919
한국어로 번역된 빅또르 쪼이의 가사를 볼 수 있고 끼노의 전곡을 감상할 수 있다.
빅또르 쪼이 다큐멘터리
http://www.crezio.com/kbsplus/videolib/video2_su_special1.htm
1995년 KBS [일요스페셜]을 통해 방영된 빅또르 쪼이 다큐멘터리의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