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o – 46 – Moroz, 1983/1996 명작이 되기 이전의 습작들 [46]은 데뷔 앨범 [45]에 이은 두 번째 정규 앨범으로 생각하기 쉬운 앨범이지만, 사실은 다음해에 나온 [Nachalnik Kamchatki(The Chief of Kamchatka)]의 데모 버전이다. 이 앨범을 준비하면서 빅또르 쪼이가 밴드의 기타 연주자 유리 까스빠리안과 함께 1983년에 작업한 것의 중간 결과물이고, 몇몇 트랙에는 러시안 언더그라운드 록의 또한명의 아이콘인 주파크(Zoopark)의 마이끄 나우멘꼬(Mike Naumenko)도 참여했다. 부클릿에는 1986년이라고 쓰여 있는데, 다른 정보들을 조합해 볼 때 오타가 분명하다. 곡들에 대한 상세한 해설은 [Nachalnik Kamchatki(The Chief of Kamchatka)]로 미루어도 될 듯하다. 단지 몇몇 곡들은 듣기에 따라서 정식 레코딩보다 낫다는 느낌이 든다. 그건 아마도 빅또르 쪼이의 노래가 세련된 프로듀싱보다는 ‘조악한’ 프로듀싱 상태에서 절실하게 들린다는 ‘편견’이 작용한 것이겠지만. 덧붙여 1번과 7번 곡은 ‘어두우면서도 낭만적인’ 끼노의 음악적 주조를 확립했다는 점, 2번과 12번 곡은 ‘사회비판적 메시지’를 담았다는 점도 미리 지적해 둔다. 쪼이의 그늘에 가려 있지만 단조로운 리듬에 활력을 부여하는 유리 까스빠리얀의 개성있는 연주를 듣는 것도 또하나의 감상 포인트다. 특히 “Troilleiibus”의 전주와 간주에 나오는 리프는 ‘한번 들으면 잊혀지지 않는’ 유형에 속한다(여기서 잠시 오해를 피하기 위해 말하자면 끼노의 음악은 빅또르 쪼이 혼자만의 작품이 아니다. 가사는 쪼이가 모두 썼지만, 음악과 편곡은 밴드 전체가 공동작업했다). 하나의 에피소드. 빅또르 쪼이는 “[46]이라는 앨범은 단지 우리의 시험작(영역: working material)일 뿐이다….이 레코딩이 널리 알려진 것은 매우 유감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쪼이는 레코딩의 음향 상태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자신의 의사에 반하여 음반을 발매한 음반회사측에도 불만스러워 했다. 체제와 이념이 달라도 ‘음반회사의 농간’은 세계 어디에서나 보편적인 모양이다. 20010809 | 신현준 homey@orgio.net 5/10 수록곡 1. Trolleibus (Trolley-bus) 2. Kamchatka (Kamchatka) 3. Trankvilizator (Tranquillizer) 4. Ia Idu Po Ulitse (I’m Walkin’ Down The Street) 5. Dozhd Dlia Nas (Rain For Us) 6. Pora (Now!) 7. Kazhduyu Noch (Every Night) 8. Bez Desiati (Without 10) 9. Muzika Voln (Music Of Waves) 10. Sasha (Sasha) 11. Khochu Biti S Toboii (I Wanna Be With You) 12. General (General) Bonus Tracks 13. Stan Ptsitsei (Turnin’ Into Bird) 14. Selva (Selva) 15. Ia Khachu Byti Kachegarom (I Wanna Be A Stoker) 관련 글 Kino, [45]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Neizvestnye Pesni (Unknown Songs)]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Nachalnik Kamchatki (The Chief of Kamchatka)]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Eto Ne Lyubovy (That’s Not Love)]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Noch’ (The Night)]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Gruppa Krovi (Blood Type)]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Posledniy Geroi (The Last Hero)]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Zvezda Po Imeni Sontse (A Star Named Sun)]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Cherniy Albom (The Black Album)] 리뷰 – vol.3/no.16 [20010816] 그 곳에도 ‘록의 시대’가 있었네 (1): 빅또르 쪼이(Viktor Tsoi) – vol.3/no.16 [20010816] 이글라=러시아판 트레인스포팅 혹은 트레인스포팅=영국판 이글라 – vol.3/no.16 [20010816] 관련 사이트 빅또르 쪼이 국내 팬 사이트 http://my.netian.com/~megathon 빅토르 쪼이를 비롯한 러시아 뮤지션을 소개하고 mp3를 제공하고 있다. 빅또르 쪼이 가사번역 사이트 http://dom.xocah.org:1919 한국어로 번역된 빅또르 쪼이의 가사를 볼 수 있고 끼노의 전곡을 감상할 수 있다. 빅또르 쪼이 다큐멘터리 http://www.crezio.com/kbsplus/videolib/video2_su_special1.htm 1995년 KBS [일요스페셜]을 통해 방영된 빅또르 쪼이 다큐멘터리의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