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0816022932-kino(86)-nochKino – Noch’ (The Night) – Moroz, 1986

 

 

국제적 유행의 추종과 변형

‘펑크에 영향받은’ 끼노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앨범이라는 평이 어울릴 것이다. 물론 이때 펑크라는 단어에는 뉴웨이브를 포함하여 펑크 이후의 다양한 조류들을 포괄해야 한다. 베이스 주자인 띠또프는 “우리 모두는 그 당시 듀런 듀런에 미쳐 있었다”고 말했는데, 실제로 부클렛에 담긴 사진들을 보면 ‘1980년대풍의 헤어 스타일(=중력에 반대하는 헤어스타일)’을 볼 수 있다.

업템포의 드럼 비트로 시작하는 첫 트랙 “Videli Noch'(They Saw the Night)”도 그렇기는 하지만, 여덟 번째 위치한 “Mama Anarkhia”는 누가 들어도 섹스 피스톨스에 대한 오마주로 들린다. 이런 곡에서 쪼이의 보컬은 그의 디스코그래피 전체에서 가장 고음으로 외쳐 댄다. “Mama Anarkhia”에는 에피소드 하나가 전해져 온다. 발매된 지 2년 뒤 국영 레이블인 멜로디아가 끼노의 인기에 편승하여 이 앨범을 재발매했는데, 한 학교에서 ’10월 혁명(=1917년 볼셰비키 혁명)’을 기념하는 엄숙한 공연에서 한 학생이 이 곡을 부르는 사태가 발생한 일이 있다고 한다. 당국은 이 곡을 ‘섹스 피스톨스에 대한 패러디’라고 고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앨범 발매를 강행했는데 예기치 않은 일이 발생한 것이다. 끼노와 빅또르 쪼이는 자신들의 허락없이 앨범을 공식 발매했다고 제작자인 안드레이 뜨로삘로(Andrey Tropillo)에게 항의하는 사태도 있었다.

나머지 곡들 대부분도 스타일과 연주가 비슷하다. 무언가 삐걱거리는 듯하면서 앞뒤가 맞아 떨어지는 합주를 들을 수 있고, 까스빠리얀의 오밀조밀한 기타와 띠또프의 까불대는 듯한 베이스를 듣는 재미도 있다. 물론 단칼에 해치운 [Eto Ne Lyubovy]와 달리 이 앨범은 스튜디오에서 오랜 시간 동안 작업하면서 이런저런 시도를 해본 티가 난다. 이는 예외적인 세 트랙에서 특히 잘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타이틀 트랙 “Noch'(The Night)”이 가장 예외적이다. 패닝(panning)을 이용하여 뿅뿅거리면서 좌우 스피커를 왕복하는 전자 효과음, 축축하게 울려퍼지는 드럼 사운드, 극도로 낮은 쪼이의 보컬 등을 듣고 있으면 ‘러시아가 아니면 도저히 나올 수 없는 음악’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또한 “Igra”에서는 ‘삑사리’를 아슬아슬하게 모면한 어쿠스틱 기타와 첼로처럼 붕붕거리는 베이스 등이 끼노의 작품을 통틀어서 가장 낭만적인 발라드를 만들어내고 있다. 마지막에 있는 반어적인 제목의 “Mi Khotim Tantsevati (We Want To Dance)”은 똑같은 소절을 여덟 번이나 지리하게 반복하는 등 스튜디오에서 지쳐 가는 밴드의 모습을 보는 듯한 트랙이다.

간혹 뮤지션 본인은 흡족해 하지 않더라도 대중들은 좋아하는 음반이 있다. 이 음반도 그런 경우에 속한다. 본인들은 자신들 또래의 영국의 멋쟁이 그룹들같은 음악을 만들고 싶어했지만 결과물이 신통치 않았다고 생각했지만, 이 음반에 수록된 곡들을 통해 끼노는 ‘언더그라운드의 컬트’로부터 전국적 유명밴드로 성장했다. 물론 ‘대박’이 나오기 위해서는 2년 정도를 더 기다려야 했다(참고로 보너스 트랙들은 뒤에 유명해진 끼노의 곡들의 희귀 버전들이다). 20010810 | 신현준 homey@orgio.net

7/10

수록곡
1. Videli Noch’ (They Saw The Night)
2. Film’ (Films)
3. Tvoi Nomer (Your Number)
4. Tanets (Dance)
5. Noch’ (Night)
6. Posledniy Geroi (The Last Hero)
7. Zhizni v Steklakh (Life In Glasses)
8. Mama Anarkhia (Mom is Anarchy)
9. Zvezdi Ostanutcia Zdesi (Stars Will Stay Here)
10. Igra (A Play)
11. Mi Khotim Tantsevati (We Want To Dance)
Bonus Tracks
12. Zakroi Za Mnoi Dveri, Ya Ukhozu (Close The Door After Me, I’m On My Way)
13. Paprobui Speti Vmeste So Mnoi (Try To Sing Together With Me)
14. Dalshe Deistvovati Budem Mi (From Now We’re In Change)
15. Spokoinaya Nochi (Quiet Night)

관련 글
Kino, [45]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Neizvestnye Pesni (Unknown Songs)]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46]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Nachalnik Kamchatki (The Chief of Kamchatka)]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Eto Ne Lyubovy (That’s Not Love)]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Gruppa Krovi (Blood Type)]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Posledniy Geroi (The Last Hero)]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Zvezda Po Imeni Sontse (A Star Named Sun)] 리뷰 – vol.3/no.16 [20010816]
Kino, [Cherniy Albom (The Black Album)] 리뷰 – vol.3/no.16 [20010816]
그 곳에도 ‘록의 시대’가 있었네 (1): 빅또르 쪼이(Viktor Tsoi) – vol.3/no.16 [20010816]
이글라=러시아판 트레인스포팅 혹은 트레인스포팅=영국판 이글라 – vol.3/no.16 [20010816]

관련 사이트
빅또르 쪼이 국내 팬 사이트
http://my.netian.com/~megathon
빅토르 쪼이를 비롯한 러시아 뮤지션을 소개하고 mp3를 제공하고 있다.
빅또르 쪼이 가사번역 사이트
http://dom.xocah.org:1919
한국어로 번역된 빅또르 쪼이의 가사를 볼 수 있고 끼노의 전곡을 감상할 수 있다.
빅또르 쪼이 다큐멘터리
http://www.crezio.com/kbsplus/videolib/video2_su_special1.htm
1995년 KBS [일요스페셜]을 통해 방영된 빅또르 쪼이 다큐멘터리의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