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 2000년 3월 19일
장소 : 베이징
통역 : 취앤요우(權友)

중국 최고(古)의 록스타는 췌이지엔(崔健)이지만, 그는 베이징의 젊은 록커들로부터 비난을 받기도 한다. 중국 외부에 널리 알려진 록스타일 경우 자연스럽게 알려진 게 아니라, 정부의 후원아래 이뤄진 보이기 위한 선전일 뿐이라는 이유이다. 이런 비난에는 췌이지엔 자신의 책임은 물론 없다. 다만 그를 중국이라는 ‘록 특산품’ 식으로 선전하는 중국 정부의 태도에 문제가 있을 것이다. 어쨌든 그런 복잡한 처지에 있는 췌이지엔을 제외하고 현재 대중적 인지도나 동료 뮤지션들의 인정, 음악적 성취 등으로 봤을 때 중국 최고(高)의 록스타는 또우웨이(竇唯)이다.

췌이지엔을 제외한 대부분의 베이징 록커들은 한국에 많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또우웨이는 아내였던 왕페이(王菲) 덕택에 홍콩-대만권 팝 ‘애호가’들에게는 낯설지 않은 존재다. 그렇다고 해서 그의 음악이 알려진 건 아니고, 단지 ‘아시아 최고의 팝 스타’의 바람둥이인데다 괴팍한 남편으로 회자되었을 뿐이다. 그런데, 또우웨이의 음악이 한국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건 아니다. 1994년 중국 록커들의 상당히 성공적이었던 홍콩 연합공연 이후 본토의 록스타들은 잠시 전 아시아에 이름을 떨칠 기회가 있었다. 이 여파로 1995년경 그의 솔로 데뷔 앨범 [黑夢(검정 꿈)]이 국내에 라이센스로 발매되었고 두 번째 앨범인 [艶陽天(맑은 하늘)]까지 접할 수 있었다. 하지만 탁월한 음악적 성취를 이뤄낸 세 번째, 네 번째 앨범은 수입조차 되지 않았고, 그의 이름은 왕페이와 관련된 홍콩발 연예기사에서나 찾아 볼 수 있었다.

20010618054532-0312douinter1이 인터뷰는 연예기사 위에서 사라져 버린 그의 이름을 음악기사 위에 올리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그의 앨범들이 몰라도 전혀 상관없는 상태에 두기에는 아까웠기 때문이다. 또우웨이를 만난 곳은 쿤룬빤디엔(昆崙飯店)이라는 고급호텔의 로비였다. 그의 키는 180cm가 넘어 보였으며, 머리가 짧았고 날카로운 눈빛을 가지고 있어서인지 차가운 완벽주의자로 보였다. 그의 대답들은 대부분 간결했는데 친절한 설명보다는 해석의 여지를 남기는 단편적인 대답이 많았다. 그는 중국 내에서도 상당히 추상적이고 이해하기 힘든 인물로 알려져 있었다. 그렇기에 ‘꿈의 철학자’라고 불리기도 한다. (또 그가 한국어로 옮기기 어려운 어휘를 구사했기 때문에 옮기는 과정에서 짧아진 대답들도 있다)

질문 : 헤이바오(黑豹)에 참여하게 된 계기를 말해달라.
또우웨이 : 음악을 좋아했기에 음악을 시작했고, 헤이바오는 음악을 하기 위해 참가했다.

질문 : 당시 즐겨 들었던 음악은 무엇인가?
또우웨이 : 본 조비(Bon Jovi)등 팝 메탈이었다. 헤이바오에 참여했을 때 그런 스타일의 음
악을 하려고 했었다.

질문 : 헤이바오는 상당히 성공한 밴드였는데 탈퇴한 이유는?
또우웨이 : 다른 음악을 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베이징사람(北京人-베이징출신을 이렇게 부른다)이다. 1969년에 태어났고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영미의 대중음악을 접했다. 1987년 중학교를 졸업한 후 베이징의 록씬에 뛰어들었으며, 1988년 이전 해에 결성되었던 록밴드 헤이바오(黑豹)에 리드보컬로 합류했다.

그가 처음 베이징 언더그라운드에 뛰어들었던 때는 중국 록의 발흥기였다. 이 때는 ‘문화혁명’을 끝장낸 덩샤오핑(登小平)의 개혁·개방정책에 의해 보다 현대적이고 자유로운 시대인 ‘신시기(新時期)’가 무르익었던 때이기도 하다. ‘신시기’에 중국 공산당의 예술원칙은 ‘문화혁명’의 억압적인 분위기를 벗어나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다. 하지만 1984년 전국인민대회에서 덩샤오핑이 직접 선포한 “예술적으로 자유롭지만 정치적인 책임이 있는” 이중적인 원칙이 존재했다.

어쨌든 ‘신시기’는 활짝 피지 못했고 1989년 티엔안먼(天安門)사태로 풍지박산이 나버렸다. 그 여파로 그동안 ‘정치적 책임’을 전혀 지지 않았던 베이징의 록 밴드들은 정부의 엄격한 규제를 받게 되었다. 결국 헤이바오는 1992년이 되어서야 첫 앨범을 발표할 수 있었는데, 이 앨범은 중국뿐만 아니라 홍콩차트 1위에 오르는 등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또우웨이는 이 앨범이 성공을 거두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헤이바오를 탈퇴했다.

질문 : 헤이바오를 탈퇴한 뒤에는 무엇을 했는가.
또우웨이 : 밴드를 잠시 결성했지만 1993년에 해체했다. 해체한 이유는 특별히 없다. 이 때 1991년 홍콩에서 알게 된 바우하우스(Bauhaus)와 조이 디비전(Joy Division)을 즐겨 들었다.

질문 : 그 이후 어떤 음악을 창작하려 했는가.
또우웨이 : 직접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데 우선을 두었다.

질문 : 1993년에 발표한 솔로 데뷔 앨범 [黑夢(흑몽)]은 어떤 구상으로 만들었나.
또우웨이 : 이 앨범을 들어보면 알 것이다. 내 직접적인 감각대로 만들었다.

질문 : 1995년의 두 번째 앨범 [艶陽天(염양천)]은?
또우웨이 : 전작에 비해 음악적 분위기가 달라진다. 개인적으로 1998년의 [山河水(산하수)]가 가장 마음에 든다. 이 앨범에는 중국적인 특색이 잘 살아있다.

질문 : 1999년에 발표한 네 번째 앨범[幻聽(환청)]에 대한 항간의 평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이 앨범에 대하여 ‘중국의 큐어(Cure)’, ‘콕토 트윈즈(Cocteau Twins)의 짙은 영향’ 등의 평가가 있었다).
또우웨이 : 나는 모든 앨범마다 혼신의 힘을 기울인다. 팝도 좋고 록도 좋다. 자기 생각으로
남을 평가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질문 : 그렇다면 [幻聽]에 대한 당신의 설명을 듣고 싶다.
또우웨이 : 이 앨범의 키워드는 ‘幻聽’이다. 직접적인 감각으로 만든 추상적인 앨범이다. 모
든 사람이 자신이 듣는 대로 서로 다른 느낌을 얻을 것이다. 그렇다고 그걸 의도한 것은 아니다. 나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지 않는다.

질문 : 음악을 할 때 가장 기쁜 일은?
또우웨이 : 나는 오랜 시간동안 음악을 했다. 기쁜 건 새로운 음악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20010618054532-0312douinter293년에 발표된 또우웨이의 첫 앨범[黑夢]은 중국과 홍콩에서 히트를 거두게 되었고 그는 스타덤에 올라서게 된다. 그의 ‘직접적인 감각’은 여기서 영국의 고딕 록의 영향아래 어둡고, 음울한 사운드를 만들어 낸다. 이후 두 번째로 발표된 [艶陽天]에서는 전작에 비해 전체적으로 가볍고 밝아졌지만, 중국의 전통 악기들을 사용하는 실험을 하게 된다. 그리고 세 번째, 네 번째 앨범을 발표하면서 그는 계속 다른 시도를 했으며 동시에 갈수록 ‘직접적인 감각’에 집중하게 된다. 또우웨이는 다른 인터뷰에서 이렇게 이야기했다.

“제가 볼 때 [黑夢]이 비교적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 이후로 갈수록 추상적으로 변하지요. 분명히 [山河水]부터는 대중적인 음악이 아닙니다. 저는 상업적 문제는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만약 생각했다면 괴로웠겠지요. 단지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음악을 만들뿐입니다. 여태까지 발표된 앨범들은 각각 제작 당시의 심정이 많이 반영되었지요. 그동안 음악에 대한 제 관념은 분명히 변화했습니다. 만약 변화가 없었으면 실패했을 겁니다.”

그의 관념의 변화는 중국의 변화에 이끌린 것일 수도 있다. 중국의 1990년대는 모든 중국인들에게 이전과는 너무도 다르게 다가왔다. 티엔안먼 사태로 인하여 정치적 이상은 꺾였으며, 대신 시장경제의 전면적 도입과 경제성장으로 부에 대한 열망이 자라기 시작했다. 사회적으로는 오랫동안 중국을 지배했던 집단주의가 퇴색했고 대신 개인주의가 자리잡았다. 그리고 사라진 ‘신시기’ 대신 ‘후신시기(後新時期)’가 등장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번역어로 추정되는 ‘후신시기’의 중국인들은 더 이상 고립된 존재가 아니다. 중국에 물밀듯이 침투한 서구의 자본들은 코카콜라를 ‘중화’라는 바다에 들이붓고, 그 위에 맥도널드 햄버거를 둥둥 띠우기 시작했다. 하지만 ‘민주’와 ‘자유’가 실종된 이데올로기의 자리는 ‘민족주의’가 차지해 버렸다. 그리고 또우웨이의 변화는 주로 중국 전통음악과 관련이 있었다.

질문 : 중국 ‘국악(國樂)’과 당신의 음악의 연결점은 무엇인가.
또우웨이 : ‘국악’은 어렸을 때부터 익혔다. 첫 번째 앨범을 만들 때 처음으로 ‘국악’의 표현을 시도했다. 초기에는 중국 전통 악기를 직접 사용했지만, 이후 기타나 전자악기를 가지고 ‘국악’의 멜로디를 표현했다.

질문 : 서양의 악기와 스타일을 가지고 ‘국악’을 연주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또우웨이 : 그런 부분은 강조할 필요 없다. 나는 하고 싶은 일은 그대로 할 뿐이다.

질문 : ‘중국 음악’의 특색을 설명해 달라(‘국악’과 현대 대중음악을 포함한 질문임).
또우웨이 : 괴로움(苦)과 풍류(樂)가 반반씩 섞여 있다. 이 점은 앞으로도 달라지지 않을 것
이다.

20010618054532-0312douinter3중국에서는 자신들의 전통음악을 한국과 같이 ‘국악(國樂)’이라고 표기한다. 또우웨이의 음악에서 ‘국악’은 부수적인 효과로 사용되는 건 아니다. [艶陽天]에서는 중국 악기들이 전면적으로 등장하여 곡의 전개를 이끌고 있으며, 그는 직접 중국 전통 관악기를 연주했다. 그리고 [山河水]는 그의 말대로 ‘국악’ 멜로디를 전자음으로 표현하고 있다.

어쨌든 그의 ‘국악’에 대한 애정과 탐구는 유별나 보인다. 그는 분명히 레코드사와 계약하여
앨범을 발표하는 대중음악인이 분명한데, 동아시아의 대중음악은 자국의 전통 음악과 철저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의 ‘국악’에 대한 애착은 극단적 민족주의의 작용은 분명히 아닐 것이다. 그리고 그가 한국과 일본의 대중음악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연스럽게 궁금해졌다. 이에 대한 그의 대답은 지극히 단편적이었다.

질문 : 한국 대중음악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또우웨이 : 클론

질문 : 일본 대중음악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또우웨이 : 듣긴 들었지만 듣고 싶은 것이 없다.

질문 : 최근에는 주로 어떤 음악을 듣는가.
또우웨이 : 미국 대중음악를 좀 듣긴 하지만 많이 듣지 않고, 특별히 고정되어 있지 않다. 프랑스 고전 악기 연주와 ‘국악’을 주로 듣는다.

질문 : 당신의 앨범에서 가사의 비중은?
또우웨이 : 거의 없다.

그의 제목과 노래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黑夢]에서 ‘黑夢(검은 꿈)’은 음산하며, [艶陽天]의 한국 대중가요와 상당히 유사한 멜로디 라인을 가진 ‘艶陽天(맑은 하늘)’은 화사하기 이를 데 없다. 어쨌든 [黑夢]의 ‘高級動物(고급동물)’의 가사는 파편적이고 [譯·幻聽]의 ‘幻聽(환청)’은 알아듣기 어렵다. 그의 가사에 대한 신념은 이렇다.

“하나의 노래 속에는 어떤 사건, 사상, 슬픔 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하나의 의미를 나타내는 글자와 음악이 같이 있으면 하나밖에 보여주지 못하지요. 그래서 저는 말을 조금 비워 사람들의 상상의 공간을 넓게 하고 싶습니다. 눈으로 보이는 글은 음악이 전달하고자 하는 바입니다. 저는 앨범을 만들 때 이 생각을 잊지 않습니다.”

또우웨이는 다섯 번째 앨범 [雨xu(비)]의 작업을 2000년 말부터 시작했다. 이 앨범에는 이미 만들어진 놓은 곡과 제작 과정에서 새로 만들어질 노래를 수록될 예정이라고 한다. 제목에 대해서는 그답게 “갑자기 생각”났다고 언급하면서, 동시에 비를 무척 좋아한다고 밝혔다.

“모든 자연 현상 중에서 비를 가장 좋아합니다. 특히 베이징의 비는 아름답지요. 비가 내린 후의 베이징의 모습은 정말 사랑스럽습니다. 이때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동이 찾아오지요. 그건 슬프면서 동시에 사랑스러운 느낌과 비슷합니다.”

인터뷰 내내 그의 목소리는 낮고 부드러웠으며, 헤어지는 악수를 나눌 때 그의 손은 무척 따뜻했다. 그 부드러움 내부에는 자신의 음악과 그걸 창조하는 자신에 대한 뚜렷한 확신이 존재한다는 인상을 받았다. 그리고 자기 확신이 뚜렷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오만함은 찾아 볼 수 없었다. 20010616 | 조성관 sakta@hotmail.com

프로필
1969년 베이징 출생
1988년 헤이바오(黑豹)가입
1992년 헤이바오 1집 [黑豹] 녹음
1992년 헤이바오 탈퇴
1993년 솔로 독립 후 첫 번째앨범 [黑夢] 발표
1995년 두 번째앨범 [艶養天(맑은 하늘)] 발표
1998년 세 번째앨범 [山河水(산하의 물)] 발표
1999년 아내였던 왕페이와 이혼. 네 번째앨범 [譯·幻聽(해석·환청)] 발표
2000년 소속 레이블인 대만에 본사를 둔 록 레코드사가 편집앨범 [希望之光(희망의 빛)] 제작
2001년 6월 다섯 번째 앨범 [雨xu(비)] 녹음 중

관련 글
竇唯(Douwei) [山河水] 리뷰 – vol.3/no.12 [20010616]
竇唯(Douwei) [譯·幻聽] 리뷰 – vol.3/no.12 [20010616]

관련 사이트
竇唯(Douwei) 팬 사이트
http://www.eband20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