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0531110149-dm_blackDepeche Mode – Black Celebration – Mute, 1986

 

 

이른바 우주시대에서의 음악생활

대중음악계에서의 밀리언 셀러란 마치 마약과도 같아서 예술과 상업의 결탁이라는 야누스적 구조를 통해 흔히 기대효과 외에 심한 부작용을 나타내기도 한다. 특히 대중의 감각적 역치를 끌어올린 대가로 뮤지션에게 지워지는 후속작에 대한 중압감은 종종 그 존재 자체를 파국으로 몰기도 한다. 전작인 [Some Great Reward]의 폭발적인 성공 이후 2년 만에 모습을 드러낸 디페시 모드(Depeche Mode)의 [Black Celebration]은 그러한 고통의 흔적을 쉽게 느낄 수 있는 앨범이다. 실제로 마틴 고어(Martin Gore)는 한 인터뷰에서 “만약 디페시 모드가 해체될 뻔한 적이 있었다면 아마도 [Black Celebration]을 제작하는 동안 벌어졌을 것이다”라고 회고하고 있다.

[Black Celebration]에 대한 대중의 평가는 크게 엇갈렸는데, 비판적인 입장에서는 주로 전작을 지나치게 의식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사실 타이틀곡인 “Black Celebration”이나 “Question Of Time”의 경우 전작의 오프닝 넘버였던 “Something To Do”의 리듬과 모티브가 많이 남아 있다. 또한, “Sometimes”는 소녀 팬들의 눈시울을 적시던 “Somebody”를 그대로 복제해놓은 듯한 인상을 좀처럼 지우기 어렵다. 전작의 수록곡 제목 뒤에 번호를 매겨 넣은 “It Doesn’t Matter Two”와 함께, ‘Black’, ‘Question’, ‘Dress’와 같은 단어가 반복되는 트랙 리스트도 식상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조금만 주의를 기울여보면 [Black Celebration]이 디페시 모드의 이전 앨범들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몇 가지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우선, 마틴 고어가 앨범의 작곡을 전담하고, 앨런 와일더(Alan Wilder)의 역할이 편곡에 집중되기 시작했다. 마이너 코드와 고른 비트가 잘 어우러진 어두운 색감은 마틴 고어가 빈스 클라크(Vince Clarke)의 영향에서 상당히 벗어나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또한, 그가 어쿠스틱 기타를 다시 꺼내들고, 앨런 와일더가 드럼 스틱에 손을 대기 시작하면서 디페시 모드는 순수한 일렉트로닉 밴드에서 조금씩 벗어나기 시작한다.

앨범 뒷 표지에 적힌 ‘이른바 우주시대에서의 생활(Life in the so-called space age)’의 의미는 스탠리 큐브릭 류의 그것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그것은 보들레르의 성찰 혹은 달리의 무의식을 통해 바라본 암흑과 같은 현실 속에 존재하는 가치관에 대한 끊임없는 의문과 부정, 그리고 허무와도 같은 것이다. 그동안 디페시 모드의 성욕, 신앙, 죽음 등에 대한 내면적 갈등은 동시대의 뉴 로맨틱스(new romantics) 밴드들과 한데 묶이는 과정에서 간과 혹은 외면되어왔다. 하지만 [Black Celebration]에는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호소력이 짙게 깔려있고, 그것은 디페시 모드의 컬트적 매력을 부각시키기에 충분했다.

자신의 사이드 프로젝트인 리코일(Recoil)의 작업을 통해 한층 원숙해진 앨런 와일더의 음악적 역량은 그를 밴드에 없어서는 안될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데이빗 게이언(David Gahan)의 견고한 톤과 놀랄 만큼 닮았으면서 바이브레이션이 더욱 섬세한 마틴 고어의 보컬이 밴드에 큰 공헌을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한 편으로는 그것이 훗날 앨런 와일더의 탈퇴와 데이빗 게이언에게 닥친 일련의 불미스러운 사고의 씨앗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그들의 ‘이른바 우주시대에서의 음악생활’에 있어서 [Black Celebration]은 중요한 전환점이자 분기점임에는 틀림이 없다. 20010527 | 이종근 depeche@hitel.net

7/10

수록곡
1. Black Celebration
2. Fly On The Windscreen – Final
3. A Question Of Lust
4. Sometimes
5. It Doesn’t Matter Two
6. A Question Of Time
7. Stripped
8. Here Is The House
9. World Full Of Nothing
10. Dressed In Black
11. New Dress
12. But Not Tonight

관련 글
Depeche Mode [Speak & Spell] – vol.3/no.11 [20010601]
Depeche Mode [A Broken Frame] – vol.3/no.11 [20010601]
Depeche Mode [Construction Time Again] – vol.3/no.11 [20010601]
Depeche Mode [Some Great Reward] – vol.3/no.11 [20010601]
Depeche Mode [Music For The Masses] – vol.3/no.11 [20010601]
Depeche Mode [Violator] – vol.3/no.11 [20010601]
Depeche Mode [Songs Of Faith And Devotion] – vol.3/no.11 [20010601]
Depeche Mode [Ultra] – vol.3/no.11 [20010601]
Depeche Mode [Exciter] – vol.3/no.11 [20010601]

관련 사이트
Depeche Mode 공식 사이트
http://www.depechemode.com
Depeche Mode 팬 사이트
http://www.depeche-mode.com
Mute 레이블 공식 사이트
http://www.mu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