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0215041042-DjKrushDJ Krush – DJ Krush – Shadow, 1995

 

 

몽롱함과 차가움으로 빚은 트립합

트립합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89년 매시브 어택(Massive Attack), 넬리 후버(Nelle Hooper), 하위 B(Howie B) 등이 참여한 소울 투 소울(Soul II Soul)의 데뷔 앨범 [Keep on Movin’]부터이다. 그러나 매시브 어택이 1991년 [Blue Lines] 앨범을 발표하면서부터 트립합은 브리스톨 사운드라는 지역적 명칭을 얻으면서 본격적으로 그 독특한 장르적 특색을 인정받기 시작했으며, 포티스헤드(Portishead)와 트리키(Tricky)의 등장으로 작은 항구 도시였던 브리스톨은 맨체스터와 더불어 음악적으로 자주 회자되는 도시가 되었다.

하지만 트립합이 꼭 브리스톨 사운드로만 국한되지 않는 것은 미국의 DJ 섀도(DJ Shadow)와 일본의 DJ 크러쉬(DJ Krush)가 있기 때문이다. 브리스톨 사운드가 자마이칸 랩, 소울, 블루스 등의 다양한 장르를 흡수해서 ‘음침한’ 기운의 트립합을 들려준다면, 모왝스 레이블에서 활동하는 DJ 섀도와 DJ 크러쉬는 느린 비트의 힙합에 기반하여 ‘몽롱한’ 정서의 트립합을 들려준다.

만인의 찬사를 받으며 화려하게 데뷔했던 DJ 섀도보다 1년 앞서 나온 이 앨범은 당시에 주로 애시드 재즈 앨범으로 분류되었는데, 이것이 당연하게 느껴질 만큼 자연스러운 재즈의 형식미를 들려준다. “Ruff-Neck Jaw”와 “Roll and Tumble”은 앨범에서 가장 재즈적인 형식을 갖춘 것이고, “On the Dub-ble”은 레게 리듬이 가미된 재즈 (스타일의) 곡이다. “Edge of Blue”나 “Murder of Soul” 같은 곡은 트립합 특유의 몽롱함을 잘 드러내는 곡인데, “Edge of Blue”가 애시드 재즈적인 휘발성에 기대고 있다면, 헨리 맨시니 (Henry Mancini)의 “피터 건(Peter Gun)”에서 일부를 따온 “Murder of Soul”은 전위적인 현대음악의 영향이 감지된다.

여기에다 곡 중간에 삽입된 1분도 안되는 짧은 삽입곡까지, 앨범이 전체적으로 산만한 느낌을 주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욕과잉처럼 여겨지지 않는 것은 앨범에 일관되게 채색된 차가운 톤의 색감 때문이다. “Keeping the Motion”이나 “Big City Lover” 같은 곡에서는 소울풀한 여성의 목소리가 사용되었는데, 이 곡의 여성의 목소리도 흑인 특유의 끈적끈적함을 제거한 것처럼 날 것이 아닌 가공의 느낌을 준다. 트립합이 거리의 음악을 침실용(감상용) 음악으로 변환했듯, 이 앨범의 여성의 목소리나 재즈 스타일의 곡들은 원초적인 무엇인가를 빠트린 듯한 느낌을 준다.

DJ 크러쉬는 일본에서 자라서 혼자 힘으로 힙합적인 느낌을 터득하고 턴테이블 사용법을 익혔다 한다. 힙합에 대한 애정일까, 미국행에 대한 열망일까? “Big City Lover”를 들으면 아름다운 불빛으로 둘러싸인 마천루의 야경이 떠오르고, 이 앨범이 마치 미국의 대도시를 동경하는 사람(Big City Lover)의 애정 어린 풍경화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미국 대도시의 공기를 직접 호흡하며 살아온 사람들의 생동감 있는 힙합의 느낌이라기보다는 예쁜 그림 속의 정물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하지만 이 앨범을 자꾸 듣게 되는 것은 비유하자면 파리에 직접 가보지 않은 화가가 예술적인 상상력을 발휘해서 에펠탑과 파리의 정경을 더 아름답게 재구성해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20010213 | 이정남 rock4free@lycos.co.kr

8/10

수록곡
1. A.M. 3:00 Tag
2. Keeping the Motion
3. Mixed Nuts
4. Roll and Tumble
5. Murder of Soul
6. E.A.R.T.H./SOS
7. On the Dub-ble
8. Another Day
9. Underneath the System
10. Edge of Blue
11. Big City Lover
12. Down the Drain
13. Into the Water
14. Ruff-Neck Jaw

관련 글
DJ Shadow [Endtroducing…..] 리뷰 – vol.3/no.4 [2001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