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ievoi5giosniot4ion23

Radiohead | Kid A | EMI, 2000

 

꼬마 안드로이드의 몽환적 유영

“나는 편집증 환자일지는 몰라도 안드로이드는 아니야”(Paranoid Android)라고 중얼거리던 [OK Computer]가 새로이 출산한 밀레니엄 베이비는 비극적이지만 당연하게도 꼬마 안드로이드(Kid A)다.

어쿠스틱하면서도 그런지한 기타 록을 통해 내성적 자기분열을 슬프게 조율하면서 이들을 ‘록 이후’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 혁신자로 끌어올렸던 전작(이자 3집) [OK Computer]. 하지만 이 앨범은 평단 일부로부터 능력의 ‘혹사’가, “Creep” 때문에 오히려 위태로운 적도 있었던 그들의 생명을 아예 끊어버릴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 이 ‘꼬마’가 구(舊) 세기의 반인반물(伴人伴物) 엄마의 탯줄을 끊어 버리고 자기만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방식은 충격적이지만 환영할 만한 새로운 코드를 만들어 낸다(최근의 한 인터뷰에서 라디오헤드는 ‘완전한 일렉트로니카 밴드’라는 새로운 명칭을 부정하지 않았다).

변화는 첫 트랙 “Everything in its Right Place”부터 확연하다. 에이펙스 트윈(Aphex Twin)을 연상시키는 앰비언트 테크노 음향 위에서 기계음으로 덧입힌 보컬과 메인 보컬의 중창이 전개된다. 두 번째 트랙 “Kid A”로 이어지면 보컬의 음색과 가사는 아예 반인화(反人化)되어 신서사이저로 프로그래밍된 잠꼬대가 되어 사라진다. “Treefingers”는 조작된 보컬조차 없는 완전한 앰비언트 테크노 트랙이다. “In Limbo”, “Idioteque”, “Morning Bell”에는 톰의 ‘노래’가 있지만 예전처럼 편집증적 사변으로 가득 채워져 있는 것이 아니라 단순화된 노랫말의 반복(그러나 절망적 냉소와 풍자의 힘은 여전한)이다. 노래는 공간감 가득한 일렉트로니카의 우주적 원무(cosmic looping?) 위로 떠돌아다닌다. 게다가 퀸(Queen)의 낭만주의적 오페라를 연상시키는 ‘미스타로바또(Mr. Robot?) 찬가(?)’인 히든 트랙을 듣고 나면, 이들이 보컬(및 가사)의 강박으로부터 벗어나버리는 것은 쉽게 받아들이기 힘들 정도다. 라디오헤디즘의 절대적 페르소나였던 톰 요크의 무게를 생각한다면 말이다.

여덟 명의 재즈 세션들이 협연한 “National Anthem”은 귀기마저 감도는 앰비언트풍의 전자 효과음과 한 소절만 반복하는 기타와 드럼의 합주로 시작하여, 들뜬 톰 요크의 보컬이 ‘길잃은 환영’처럼 합세한 후, 현란하게 삑삑거리는 브라스의 협연의 악몽으로 확장된다. 악몽의 마무리답게 페이드 인/아웃되는 ‘국가풍’의 아득한 오케스트레이션은 국가주의의 허상에 대한 비틀린 비가의 정서를 극대화한다. 전작들의 형태를 비교적 많이 간직하고 있는 “Optimistic”은 주술적인 드러밍과 반복적이고 단순한 기타 샘플링 위로 음울한 전자 효과음과 무감정하게 들뜬 보컬이 어우러진다. “Nice Dream”이나 “Fake Plastic Trees” 등의 노래에 대한 기억이 여전히 소중한 이들에겐 “Motion Picture Soundtrack”과 “How to Disappear Completely”가 매우 반가울 것이다.

라디오헤드는 버티기 힘든 병적 강박을 왜곡시키지 않으면서도 아름답게 만들 줄 아는 능력을 가졌다. 궤도의 정점에 올라본 경험이 있는 존재에게는 가장 무서운 차후 단계인 새로운 정체성의 확립이 [Kid A] 위로 얹어졌던 강박이라면, 그들은 이번에도 멋지게 탈출했다. Thank you very much Mr. Roboto for helping me escape when I needed to…(“hidden track”) | 최세희 nutshelter@hotmail.com

 

Rating: 8/10

 

수록곡
1. Everything In Its Right Place
2. Kid A
3. The National Anthem
4. How To Disappear Completely
5. Treefingers
6. Optimistic
7. In Limbo
8. Idioteque
9. Morning Bell
10. Motion Picture Soundtrack

관련 글
Radiohead [Pablo Honey] 리뷰 – vol.5/no.12 [20030616]
Radiohead [The Bends] 리뷰 (1) – vol.2/no.21 [20001101]
Radiohead [The Bends] 리뷰 (2) – vol.5/no.12 [20030616]
Radiohead [OK Computer] 리뷰 (1) – vol.2/no.21 [20001101]
Radiohead [OK Computer] 리뷰 (2) – vol.5/no.12 [20030616]
Radiohead [Airbag/How Am I Driving?] EP 리뷰 – vol.5/no.12 [20030616]
Radiohead [Kid A] 리뷰 (2) – vol.5/no.12 [20030616]
Radiohead [Amnesiac] 리뷰 (1) – vol.3/no.11 [20010601]
Radiohead [Amnesiac] 리뷰 (2) – vol.5/no.12 [20030616]
Radiohead [I Might Be Wrong: Live Recordings] EP 리뷰 – vol.5/no.12 [20030616]
Radiohead [Hail To The Thief] 리뷰 – vol.5/no.12 [20030616]
Radiohead [In Rainbows] 리뷰, 20080113
Radiohead [The King Of Limbs] 리뷰, 20110310

라디오헤드 신드롬의 정체 – vol.5/no.11 [20030601]
여섯 가지 가능성들: 새로운 두근거림을 향하여 – vol.10/no.3 [20080201]

관련 사이트
Radiohead 공식 사이트
http://www.radiohead.com

 


“Motion Picture Soundtr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