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1024105235-bbang

배리어스 아티스트 – 빵 컴필레이션 – 여자화장실/인디, 1999

 

 

1999년 인디 씬의 특징이라면 무엇보다 싱글 음반 발매와 컴필레이션 앨범의 활발한 제작을 들 수 있다. 직경 8cm의 일본식 싱글 음반은 이제 막 걸음마 단계에 들어선 형식이다. 반면, 컴필레이션 앨범은 초창기부터 인디 씬의 홍보 사절 역할을 톡톡히 한 음반 포맷인데, 그도 그럴 것이 대중들에게 인디의 존재를 알리는데 이보다 더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수단은 없기 때문이다.

인디와 관련된 컴필레이션 앨범은 대략 세 가지로 구별될 수 있다. 특정 클럽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밴드들의 음악을 모아놓은 앨범, PC 통신 동호회의 앨범, 마지막으로 소위 스타급 인디 밴드들을 중심으로 한 기획 음반.

왜 갑자기 컴필레이션 앨범이 앞다투어 발매되는지 모르겠지만, 금년 여름을 전후해서만 [Open the Door], [인디파워 1999], [blex. vol.2], [techno@kr] 등 많은 컴필레이션 앨범이 발매되었거나 발매 예정이다. 여기 소개할 [빵 컴필레이션] 역시 최근에 선보인 컴필레이션 앨범들이다.

[빵 컴필레이션]은 [Rock, 닭의 울음 소리](1997)와 여러 모로 비슷해 보인다. 특정 클럽의 이름을 내걸고 나온 앨범이라는 점, 온갖 다양한 음악이 한데 모여있다는 점, 현장성을 중요시해 라이브에 준하는 방식으로 녹음되었다는 점 등이 그러하다. [Rock 닭의 울음 소리]가 초기 인디 씬의 다채로운 음악 지형을 보여주었다면, [빵 컴필레이션]은 중간 보고 정도의 의미가 될까.

이 앨범에서 눈에 띄는 점은 상당히 다양한 음악들을 수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옐로 키친 같은’ 음악도 있고, ‘노이즈가든 같은’ 음악도 있으며, ‘드럭 소속 밴드 같은’ 음악도 있다. 그런데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것은 바로 이 점이다. 음악적으로나 태도에 있어서나 상충할 법한 음악들이 그저 한 데 모여있는 듯하다. 예를 들어 페퍼민트 오나니즘(Peppermint nanism)의 “Everyday”와 로튼 애플(Rotten Apple)의 “병신”, 푸.펑.충의 “어둠의 자식들” 사이에는 아무런 연관성도 개연성도 없어 보인다. 심하게 말하면 월간지 부록으로 제공되는 샘플러 CD를 듣는 느낌? 적어도 대중과의 만남을 겨냥한 앨범이라면 단순히 한 클럽에서 공연하는 밴드들의 음악 모음집 이상의 기획이 있었어야 하지 않았을까. 19991001 | 장호연 ravel52@nownuri.net

[weiv plus] 이용우: “로파이 녹음 방식으로 갈무리한 1999년 한국 인디 파노라마”

4/10

수록곡
1. Rebbor Paos – Peppermint Onanism
2. Everyday – Peppermint Onanism
3. Hologram Part 3 – Glass Facade
4. Porn Star – Lunch
5. Simply Wounded – Lunch
6. Niac – 兮`S
7. 어느날 문득 (너 이제는) – Wounded Fry
8. Ultima Uundeground – Rotten Apple
9. 병신 – Rotten Apple
10. 싹은 죽었어 – 허벅지
11. 사람들은 시계를 차 – 비누도둑
12. Light My Fire – 열혈펑크키드
13. 펑크를 탄 눈사람 – 열혈펑크키드
14. 어둠의 자식들 – 푸.펑.충
15. 조선청년 21 – 푸.펑.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