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1018104319-dre

Dr. Dre – 2001 – Aftermath/Interscope, 1999

 

 

힙합 역사의 한 이정표를 세운 1992년의 [The Chronic]에 이어, 7년만에 나온 드레의 공식 솔로 앨범 [2001]에서도 안드레 벤자민 영(Andre Benjamin Young)의 ‘솜씨’는 여전하다. 그의 사운드는 퍼프 대디(Puff Daddy)처럼 산만할 정도로 떠들썩하지도 않고, 디제이 먹스(DJ Muggs)처럼 기괴하지도 않고, RZA처럼 음산하지도 않다. 드레 자신의 말처럼, 그의 음악은 “카 스테레오에서 즐기는 배경음악”으로 딱 알맞다. 즉 ‘팝적 형식미’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는, 흥겨운, 그러나 야단스럽지는 않은 사운드. 그리고 그 사운드는 튀지 않으면서 래퍼들을 ‘백업’해줄 때 더욱 빛난다.

그의 ‘공식’은 이렇다. 팔러먼트(Parliament)나 훵카델릭(Funkadelic)에서 따온 ‘P 훵크’ 신시사이저 베이스라인으로 밑바닥을 축축하게 만든 다음, 유령 소리처럼 들리는 키보드 휘슬 한자락을 공중으로 날린다. 그리고 그 가운데 널찍한 공간을 확보해둔다. 여기는 기타 리듬과 키보드의 코드가 양념으로 들어갈 뿐, 거의 완벽하게 래퍼와 코러스를 위한 무대다. 팝의 매혹적인 훅을 가진 달콤한 코러스와 래퍼의 느긋한 랩(스눕) 혹은 재미난 사설(에미넘 Eminem)이 채워주는 것이다.

[2001]에서도 많은 파트너를 래퍼로 불러들였다. 스눕의 이름도 눈에 띄고 커럽트(Kurupt), 디파리(Defari) 같은 이름도 자주 보인다. 예전 스타일 그대로 래퍼가 중심이 되는 프로듀싱임을 짐작할 수 있다. 닥터 드레와 멜맨(Mel-Man)이 함께 프로듀스한 이 앨범은 예의 깔끔하고 간결한 프로듀싱을 선보이고 있다. 각 음색이 다 또렷이 들림과 동시에 래핑을 명확하게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드레 이후’의 스타일에서 별로 참조한 것이 없는 ‘드레의 스타일’이다. 거부가 되었고 결혼도 했지만 ‘갱스터임을 뻐기고’ ‘여자들을 후리는’ 가사도 여전하다(많은 가사는 제이지(Jay-Z)가 썼다).

앨범이 나오기 훨씬 전부터 인터넷에 돌아다니던 “Still Dre(Chronic 2001)”은 하이톤의 키보드 자리를 루츠(Roots)의 스캇 스토치(Scott Storch)의 선명한 키보드가 대신했다. ‘아직도 스눕이냐’라는 말도 들리지만 ‘역시 스눕’이라는 생각이 드는 깔끔한 곡이다. 에미넘이 참가한 두 곡 “What’s the Difference”와 “Forget About Dre”는 앨범에서 가장 매력적인 곡들이다. 과장된 비트와 드라마적인 분위기는 확실히 에미넘의 속사포 같은 랩 스타일과 잘 어울린다. “Some L.A. Niggaz” 같은 곡에서 디파리의 힘이 바짝 들어간 랩도 인상적이다.

반면 [2001]에서 그가 택한 새로운 파트너 힛맨(Hittman)은 실망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냥 들어줄 만한 정도’이다(22곡 중 무려 8곡에 참여하고 있다). 정말 괜찮은 곡이란 “Big Egos” 정도며, 갱스터의 테마를 반복하고 있는 그의 랩보다는 차라리 어눌하기로 악명높은 닥터 드레의 랩이 차라리 낫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밋밋하다. ‘달라진 점도 있기는 하지만 그냥 여전히 드레네 뭐’하고 넘기려는 순간, 마지막 곡이 흘러나온다. “The Message”는 메리 제이 블라이즈(Mary J. Blige)가 참여한 힙합 소울 발라드다. 멜로디의 훅, 피아노 루프, 랩이 메리 제이의 엘레지와 잘 어울린다. 하긴 별로 좋은 평을 듣지 못했던 [Dr. Dre Presents the Aftermath](1996) 시절에도 알앤비 몇 곡은 들을 만했다. 뉴스를 뒤져보니, 드레는 그동안 만들어놓은 알앤비 곡을 불러줄 힙합 소울 가수를 찾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변화의 조짐일까? 19991224 | 이정엽 evol21@weppy.com

6/10

수록곡
1. Testify 1. Lolo (Intro) (featuring Xzibit/Tray-Dee)
2. The Watcher
3. F*** You (featuring Devin a/k/a The Dude/Snoop Dogg)
4. Still D.R.E. (featuring Snoop Dogg)
5. Big Ego’s (featuring Hittman)
6. Xxplosive (featuring Hittman/Kurupt/Nate Dogg/Six-Two)
7. What’s The Difference (featuring Eminem/Xzibit)
8. Bar One (featuring Traci Nelson/Ms Roq/Eddie Griffin)
9. Light Speed (featuring Hittman)
10. Forgot About Dre (featuring Hittman)
11. Next Episode (featuring Snoop Dogg)
12. Let’s Get High (featuring Hittman/Kurupt/Ms. Roq)
13. Bitch Niggaz (featuring Snoop Dogg/Hittman/Six-Two)
14. The Car Bomb (featuring Mel-Man/Charis Henry)
15. Murder Ink (featuring Hittman/Ms. Roq)
16. Ed-ucation (featuring Eddie Griffin)
17. Some L.A. Niggaz (featuring DeFari/Xzibit/Knoc-turn-al/Time Bomb/King T/MC Ren/Kokane)
18. Pause 4 Porno (featuring Jake Steed)
19. Housewife (featuring Kurupt/Hittman)
20. Ackrite (featuring Hittman)
21. Bang Bang (featuring Knoc-turn-al/Hittman)
22. The Message (featuring Mary J. Blige/R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