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찬권 – One Man Band – 동아기획, 1999 들국화를 아직 기억하는 사람이라도 주찬권이라는 이름까지 기억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런데 들국화의 라이브 앨범을 들으면 전인권이 주찬권을 이렇게 소개하는 걸 들을 수 있다. “어릴 때부터 무대에 섰고… 못 다루는 악기가 없고… 음악적 천재형입니다.” 묵묵히 드럼을 치는 일에 만족해 보였던 그의 음악적 재능은 ‘멀티’하고, 그가 솔로 음반을 냈다. 처음은 아니다. 몇 년 전에도 솔로 음반을 냈지만 그것도 이제 꽤 오래된 일이다. 앨범의 제목은 어느 곳에는 [One Man Band]라고, 다른 곳에는 [언제나]라고 적혀 있다. 타이틀곡이 “언제나”이므로 아마도 전자가 맞을 듯하다. 아무렴 어떠랴, 주찬권 혼자서 작사, 작곡, 프로듀싱은 물론 모든 악기를 연주했고 노래도 직접 불렀다는 점이 중요하다. 전체적인 사운드나 악곡 형식은 ‘들국화주의’의 연장이다. 드럼-베이스-기타라는 록 음악의 기본 편성이 분명하지만, 건반 악기 소리도 종종 들어가고 보컬의 멜로디 라인이 선명한 ‘가요’다(‘정통 록’이나 ‘인디 록’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는 이야기다). 물론 ‘좋은 가요’다. 타이틀곡 “언제나”와 “애절한 절규”는 들국화의 전매특허였던 ‘애절한 절규’가 인상적이다. 주찬권의 목소리는 전인권과 다른 듯하면서도 비슷하다. 터지지 않을 듯하다가 터지고 이내 곧 다시 수그러드는 외침 말이다. “그런 마음으로”같은 느린 템포의 발라드도 마냥 감상적이지만은 않다. 그 외에도 자기의 음악적 뿌리를 찾는 듯한 트랙들이 탄탄한 연주력 위에서 전개된다. 흥겨운 분위기의 “시작해”로 시작하여, 블루스의 진득함과 절절함이 넘치는 “안녕”, “포기할 순 없어”, “I Need You” 등이 드문드문 배치되어 있다. 영원한 젊음을 과시하듯 거칠게 몰아대는 하드 록인 “실망했어”에서는 자신감이 넘쳐 보이고, 이는 마지막 트랙인 “그만해”까지 연장된다. 그 앞에 브레이크비트의 전자음향을 도입한 “벗어나”와 훵키한 리듬이 돋보이는 “난 널 믿어”도 흥미롭다. 가사는 대부분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 하지만 평범한 가요가 ‘이성에 대한 사랑’을 노래하는 게 분명하다면, 주찬권의 사랑 노래는 여러 가지 의미로 들려온다는 게 다르다. 여자에 대한 사랑으로 들리기도 하고, 동료에 대한 사랑으로 들리기도 하고, 한때 ‘공동체’를 이루었던 팬에 대한 사랑으로 들리기도 한다. 드문드문 ‘포기할 순 없어’라는 다짐이나 ‘벗어나’라는 충고도 들린다. 문득 1998년 말 들국화의 재결합 공연 장면이 떠오르고, 전인권이 다시 ‘사고’를 치면서 들국화의 컴백 음반이 지연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 이 음반은 안타까움의 절반 이상을 채워준다. 나머지 절반은? 하지만 우리 삶에서 모든 게 충분히 채워지는 때가 어디 흔한가. 이 음반은 미완인 채로 살아가는 사람에게는 소중하다. 딸인 희연이가 그린 부클렛 속의 그림들도 언제나 미완인 그의 마음같다. 미완인 것을 싫어하고 완성된 것을 선호하면 최근 나온 [조용필 베스트 3, 4]를 사면 되고… 20000114 | 신현준 homey@orgio.net 6/10 수록곡 1. 시작해 2. 포기할 순 없어 3. 넌 4. 그런 마음으로 5. 실망했어 6. 안녕 7. 그냥 내버려둬 8. 벗어나 9. 언제나 10. 난 날 믿어 11. I Need You 12. 그만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