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위클리 웨이브는 소녀시대, 투애니원, 황보령, 넬의 새 앨범에 관한 코멘트다. | [weiv] 소녀시대 | Mr.Mr. | SM엔터테인먼트, 2014.02.24 미묘: 곡들의 구성만을 본다면, 제법 복합적이지만 그럼에도 산만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추측컨대 훵크나 일렉트로닉, R&B와 록의 스타일적 요소들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돼 있고, 화성과 멜로디의 비슷한 정조를 유지한 덕분인 듯하다. 원더걸스 이후 소울/훵크가 성숙 혹은 실력의 대명사처럼 암암리에 자리 잡은 상황에서, 그런 클리셰마저 비틀고 있어 ‘정통’의 부재를 강점으로 승화시킨 훌륭한 예로 보인다. 섹시하거나 사랑스러운 음악임에도 강한 자신감을 내내 유쾌하고 화사하게 풀어나가 어떤 ‘멋진 여성’의 상을 제시하는 점도 인상적이다. 포화점을 한참 넘긴 여성 아이돌의 세계에서 섹시함만도 귀여움만도 아닌, 혹은 둘 모두를 발전적으로 끌어안고 나가는 ‘아이돌 제3의 길’을 보여주는 음반. 9/10 블럭: 최근의 팝 음악이라는 장르를 떠올렸을 때 연상될 수 있는 것들 중 스탠다드에 가까운 느낌을 차용했다. 전체적인 컨셉이나 분위기의 측면에서는 일관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개별 곡마다 서로 다른 작곡가를 기용하여 장르의 일부를 조금씩 차용했다. 유행을 타지 않는 사운드와 가사를 통해 소녀시대만이 가질 수 있는 정체성이나 맥락을 구성했다. 이는 그룹이 잠시 유행에 민감한 적도 있었지만, 그간 선보여 온 맥락에서 벗어나지 않기에 더욱 의미가 있다. 8/10 투애니원 | Crush | YG엔터테인먼트, 2014.02.27 최성욱: 그루브한 갱스터 일렉트로닉 팝이라고 명명하면 적당하려나. 투애니원의 장점이 십분 발휘된 느낌이다. 급격하게 비트와 리듬을 변환시키고, 분위기를 전화시키면서도 특유의 그루브한 흐름을 이어간다. 논외로, 앨범이 거듭될수록 박산다라, 공민지의 보컬과 랩의 톤, 흐름이 씨엘의 그것과 닮아가는 성향을 보인다. 사운드의 완성도는 높아지나 개별 멤버의 매력 요소는 점차 떨어진다. 8/10 한명륜: 전작의 완성도를 지나치게 의식한 게 아닐까 싶다. “Crush”는 “내가 제일 잘 나가”의 분위기를 살리고 있긴 하지만 사운드와 멜로디의 흐름이 중구난방이다. “Come Back Home”은 버스(verse)부의 멜로디와 랩의 조합에서 매력 요소가 될 어떤 인과적 관계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2012년 일본 발매 버전에 비해 한국어 가사가 훨씬 잘 어울리는 “Scream”의 심플함만이 귀에 남는 정도. 6/10 미묘: 유려한 팝이다. 강한 비트도, 부드러운 발라드도, 인상적인 스왝도 ‘가요적’ 느낌 없이 한껏 세련되었다. 이 음반의 음악에서 가장 가요적인 것을 굳이 찾으라면 몇몇 곡의 90년대 R&B 취향 정도일 터인데, 그마저도 우아하고 근사하기만 하다. 그런데 그런 ‘쿨’이 지나치다고, 수위 조절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일까. 가끔 가슴이 철렁하기까지 한 단단한 자존감의 ‘쎈 언니’ 가사에 비추어, 수시로 등장하는 수동적이고 신파적인 가사의 존재감이 강하다. 기존의 싱글에서도 선보인 적 있는 신파의 결합이라곤 하지만, 이쯤 되면 ‘쎈 척하지만 속은 의존적인 신파 여성’이 투애니원의 정체성으로 천명됐다고 봐야 할 것 같다. 어쨌거나, 유려한 팝이다. 7/10 황보령 | 마치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 2014.02.27 블럭: 다양한 장르를 익숙하게 다뤄온 황보령의 이번 앨범은 어쿠스틱이라는 단어가 보여주듯 기존의 음악보다는 상대적으로 편하고 익숙한 느낌을 선사한다. 가사는 포크나 블루스에 가깝지만 장르로 구분하기에 그렇지 않은 곡들도 있다. 음악을 전달하는 부분에 있어 조금 더 직관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아티스트가 본래 가지고 있던 건조한 느낌은 더욱 잘 표현되었다.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곡을 만들었지만 워낙 황보령이 가진 존재감이 크다. 기존에 끊임없이 던져온 묘한 불편함이 적다는 것은 장점이라면 장점이다. 8/10 한명륜: 연주적인 측면에서 극히 이질적인 성향을 가진 곡들이 황보령의 목소리를 따라 한 편의 부조리극을 벌인다. 거의 원코드에 몽환적으로 되풀이되는 가사의 “밝게 웃어요”와 뉴에이지풍의 피아노가 배경을 이루는 “마치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이 앨범이라는 같은 배를 탄 것은 기이한 풍경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한편 청자들의 직관적 수용을 바라는 황보령의 보컬을 (그것을 다소 설명적으로 보조하는) 연주 파트들이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려울 것 같다. 7/10 넬 | Newton’s Apple | 울림엔터테인먼트, 2014.02.27 최성욱: 드라마틱한 서사와 웅장한 사운드에 대한 넬의 욕심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그러나 유사한 흐름, 메시지의 음악이 두 번의 연작을 통해서 반복되었던 까닭에 이 앨범이 상대적으로 더 밋밋하게 다가온다. 두 번째 트랙 “Fantasy”와 같이 스트레이트하면서도 청량감 있는 기타 톤과 심플한 멜로디로 구성된 노래의 비중이 좀 더 늘었으면 어땠을까? 아쉬움이 남는다. 6/10 이재훈: ‘알면서도 못 막는’ 기술이나 패턴을 가진 운동선수들이 있다. 이번 넬의 신보를 들으면 그런 선수들이 떠오르지만, ‘막을 수 없는’ 선수라는 생각까지는 들지 않는다. 완급조절이 훌륭한 “Grey Zone”과 일렉트로닉과 스트링 세션을 적절히 배합한 “환생의 밤”은 새로운 느낌을 주지만, 타이틀곡인 “지구가 태양을 네 번”은 이제는 익숙해서 재미없는 넬의 클리셰다. 자신들만의 확고한 패턴을 가지는 것은 물론 큰 강점이지만, 그것이 발전이 아닌 답습이 된다면 약점이 될 수도 있다.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