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애니원(2NE1) – Come Back Home | Crush (2014)

 

“Come Back Home”은 투애니원만이 아닌 YG엔터테인먼트의 지향과 역량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곡 같다. 동시대의 선진적 트렌드와 부지런히 교유하며 일군의 미국 팝·힙합 분야에 대한 재해석과 재가공을 시도해온 YG의 노선은 이 집단의 주된 전략 중 하나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노래는 걸그룹에 대한 YG의 그 전략과 태도를 비롯해 몇 가지 레퍼런스의 활용, 대중을 의식한 실험, 아이돌 정체성 등이 고르게 녹아든 결과물로 들린다. 투애니원이 지금까지 쌓아온 이력의 스펙트럼에서 중간보다 약간 앞선 곳에 위치한 곡이라 말해도 무리 없을 것이고, 이는 답보적이라기보다 자기중심적이라 하는 편이 맞을 듯싶다.

물론 음악 자체를 두고 여전히 ‘잡탕’과 같은 말로 폄하하는 이도 있을 것이고, 누군가는 이번에도 어김없이 리한나(Rihanna)를 언급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투애니원이 그 같은 인상을 주기 쉬운 길을 추구하면서도 실은 그렇게 안이한 길을 걸어온 것만은 아니라는 점에 조금이나마 동의할 수 있다면, 그러한 판단은 보류함이 옳아 보인다. ‘다르면서 비슷하다’와 ‘비슷하면서 다르다’의 차이에 관한 애매한 문제는 여전히 남지만, 후자는 대중음악의 본질이자 숙명이기도 하므로 흠으로 작용하기엔 부족할 테고 이 곡은 그 ‘비슷하면서 다르다’에 가까운 긍정적인 예라는 생각이 든다.

“Come Back Home”은 차가운 레게 비트의 발라드로 시작해 힘 있는 댄스팝으로 넘어간다. 여기까지는 나긋나긋하면서도 직선적인 선율이 곡을 이끈다. 그러다가 두 번째 훅, 즉 음색과 템포를 싹 바꾸고선 왱왱거리는 트랩 힙합 비트 위로 씨엘(CL)과 산다라박이 웅얼대는 부분(‘come back home’, ‘come baby baby come come baby’ 등)이 곡 전반에 새로운 분위기를 끼얹는다. 뮤직비디오 버전에서 브릿지처럼 들어간, 씨엘의 차분한 16마디 랩도 비슷한 기능을 한다. 그리고 각 부문들의 자연스러운 결합은 결과적으로 좋은 팝넘버를 만들어냈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노래는 영상과도 긴밀하게 어울린다. 자기 파괴적인 ‘가상의 천국’을 벗어나 차라리 디스토피아적인 현실 세계를 택하겠다는 골자의 뮤직비디오는, 곡의 각 파트마다 적절한 플롯과 이미지를 배치하여 보는 것과 듣는 것이 시너지를 발하도록 하고 그것은 결국 음악적 감성의 전달력을 높인다. 애잔함에서 분노로 치닫는 중심 서사보다 싸이키델릭한 시공간을 묘사한 몽환적 장면들이 더 기억에 남는 것도 그러한 연출 때문으로 보인다. 노래만이 아니라, 아이돌다운 판타지와 스토리가 잘 섞인 뮤직비디오 또한 흥미롭게 감상할 만하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다. | 김영진 younggea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