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커 버스커 | 버스커 버스커 | CJ E&M, 2012 버스커 버스커는 천안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3인조 밴드다. 멤버는 장범준(보컬/기타), 김형태(베이스), 브래드(드럼)으로, 장범준과 김형태는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에 재학 중이었고 브래드는 그 학교의 영문과 교수였다. 지난 2011년 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K3]에 지원하여 중간에 탈락했으나 Top 10에 올랐던 참가자 중 하나였던 예리밴드가 출연을 포기하면서 다시 합류했다. 결국 결승까지 올라 준우승을 차지했다. [슈퍼스타K3]을 즐겨 봤던 이들에게 이런 정보는 시시하겠지만 프로그램에 거의 관심이 없었던 나 같은 사람들을 위해서는 간략하게나마 정리가 필요할 것 같다. 프로그램에서 거라지 스타일로 편곡해 부른 윤종신의 “막걸리나”를 슬쩍 접한 것 외에 밴드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이상형”을 들었을 때는 불필요하게 넉살을 떠는 분위기에 비해 정작 만들어내는 소리는 따분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박하다기보다는 어정쩡하다는 쪽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이는 연주 실력이 모자라다는 문제와는 다른 것이다. 인트로에 삽입된 추임새도 (팬들에게는 어떨지 몰라도) 안 하느니만 못해 보였다. 음반 전체를 듣고 난 다음에도 생각이 크게 바뀌지는 않는다. 신인의 패기나 신선함을 드러내기보다는 전형성에 의탁해 몸을 사리는, 얌전하게 찍은 여권사진 같은 음반이라는 인상이다. 노래방 반주처럼 달달한 스트링과 일렉트릭 기타 솔로를 덕지덕지 바른 “여수 밤바다”의 몰개성적인 편곡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겠다. 예전 공연 영상에서 어쿠스틱 편성으로 조곤조곤하게 연주하던 버전을 듣고 나면 더 그렇게 보인다. 이에 대한 책임을 프로듀서 탓으로만 돌릴 수는 없을 것이다. 반면 “이상형”이나 “골목길 어귀에서”에서 밴드는 지나치게 노련하게 보이려 하고 있는 건 아닌가 싶은데, 특히 송창식과 마룬 5를 서투르게 합친 것 같은 후자가 그렇다. 이 역시 연주를 ‘프로답게’ 잘 하느냐 못 하느냐의 문제는 아니다. 비슷하게 들리는 곡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것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이를테면 “첫사랑”과 “여수 밤바다”). 비음이 많이 섞인 장범준의 보컬은 취향이 좀 갈릴 것 같다. 그렇다고 해서 밴드가 현재 누리는 인기가 회사의 홍보나 [슈퍼스타K3]의 미몽에서 깨지 못한 사람들 때문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인디’나 ‘복고’, ‘진정성’ 등의 어휘가 밴드의 주변을 마케팅 수단으로 돌아다니는 건 사실이고, 코러스를 위해서라면 나머지는 아무래도 좋다는 식의 태도가 종종 보이는 것도 맞지만 밴드가(혹은 장범준이) 나른하면서도 또렷한 훅과 포근한 여운이 인상적인 “벚꽃 엔딩” 같은 곡을 만들어내는 것 역시 사실이다. 5음계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멜로디가 소박하고 달콤하다는 의견도 많다는 점 역시 덧붙일 수 있다. 코러스에서 가성과 함께 음을 추켜올리면서 가사(“봄바람 휘날리며/흩날리는 벚꽃 잎이”)의 흐름과 멜로디의 진행을 맞추는 ‘감’도 있다. “꽃송이가” 같은 곡에서도 포인트가 필요한 지점에서 또렷이 방점을 찍는다. 10cm와 마찬가지로 공격적이지 않은 남성성, 혹은 ‘귀여움’이 드러나는 덤덤한 구어체 가사 역시 최근의 어떤 추세와 부합한다는 생각이다. 지금의 인기가 딱히 이상하지는 않은 이유다. 잘 만든 음반은 아니다. 어쩌면 그건 프로듀서와 회사의 간섭이 없었더라도 마찬가지였을지 모른다. 만약 애초의 기획 의도가 ‘가요와 인디 팬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한 음반’이었다면 더 그랬을 것이고. 그리고 혹여 그런 의도가 있었다면 지금의 추세로 보건대 기분 좋은 성공이다. 그런 의미에서는 ‘잘 만든’ 음반이라기보다는 기획이라는 측면에서 ‘웰 메이드한’ 음반일지도 모르겠다. 모름지기 기획자라면 제네럴한 어트랙션의 센스를 하일라이팅하면서도 스노비즘의 컨벤션에 인클라인드된, 혹은 캐릭터리스틱한 오디언스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머스트 해브 아이템을 만들고 싶지 않을까. | 최민우 daftsounds@gmail.com rating: 5/10 수록곡 1. 봄바람 2. 첫사랑 3. 여수 밤바다 4. 벚꽃 엔딩 5. 이상형 6. 외로움증폭장치 (브래드 드럼 한판 쉬기) 7. 골목길 8. 골목길 어귀에서 9. 전활 거네 10. 꽃송이가 11. 향수 14 Responses 프렌치커넥션 2012.04.24 모름지기 기획자라면 제네럴한 어트랙션의 센스를 하일라이팅하면서도 스노비즘의 컨벤션에 인클라인드된, 혹은 캐릭터리스틱한 오디언스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머스트 해브 아이템을 만들고 싶지 않을까. 위의 말을 국어로 번역하면 무슨 뜻인가요? 응답 Bokkaa 2012.04.24 여성지 읽는 기분이네요. 응답 해섭 최 2012.05.07 필자가 살짝 위악적으로 쓴 농담 같은데요, 부러 ‘보그병신체’ 흉내를 내서. 응답 Araratmt 2012.04.24 저렇게 쓰면 멋 있나요? 멋있어요? 한심합니다. 모름지기 음악평론이라면 제네럴한 어트랙션의 센스를 하일라이팅하면서도 스노비즘의 컨벤션에 인클라인드된, 혹은 캐릭터리스틱한 뮤직 컨슈머 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머스트 리딩 평론을 보고 싶지 않을까 가 아니라 제대로된 아니 적어도 한글로 된 글을 보고 싶지 않을까요.. 당췌 영어야 중국어야 뭐야 그쵸? 응답 Kim JungYong 2012.04.24 글쓴이가 겉멋이 들어 영어를 섞어썼다는 어조의 윗 댓글은 영어 과용도 의도가 있는 글의 장치라는 점을 일부러 못 알아보는 척 하시는건가요… 응답 Araratmt 2012.04.24 일명 보그체를 사용한 부분은 나름의 장치로 보입니다만 평론이라는게 모두 좋을수는 없고 때로는 쓴소리가 더 필요 하겠지만 글 전반의 맥락에 비추어 볼때 마지막에 사용한 소위 의도적 영어 과용이 유쾌한 풍자로 받아들여지기 보다 빈정거림으로 보이기에요 응답 ahn jung yeon 2012.04.28 빈정거리는게 맞죠 Blues214 2012.04.25 사람 생각이란게 다 비슷하구나. 나도 여수밤바다의 스트링, 이상형의 브라스 편곡은 너무 뻔한 주류의 방식이라 별로였음. 그래도 조금 인색하게 주셨네. 에프엑스, 인피니티 보다는 더 대접받아도 좋을텐데. 응답 윤섭 이 2012.04.27 f(X)가 버스커버스커보다 못한다고요? 어휴…. 그냥 장르적 편견때문에 너무 무시하는듯 하시네요. 응답 sam jeong 2012.04.26 모름지기 기획자라면 제네럴한 어트랙션의 센스를 하일라이팅하면서도 스노비즘의 컨벤션에 인클라인드된, 혹은 캐릭터리스틱한 오디언스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머스트 해브 아이템을 만들고 싶지 않을까.// 이 부분이요 ㅎ 물론 의도를 가지고 쓰신건 알겠습니다. 무슨 의돈지는 글 맥락상 너무 뜬금없어 알 수는 없는데 미치지 않고서 정상적인 사람이 저딴식으로 글을 쓰지는 않으니깐 의도를 가지고 썼다는 생각은 드네요. 아, 그게 의돈가요? 버스커버스커 음반에 대한 평은 거의 전적으로 동감하는바인데 쓸대없는 말장난은 안하시는게; 평론이란것도 하나의 작품이라 보는데 이 평론은 아웃트로에서 개소릴해서 망쳤네요. 응답 hahah heheh 2012.07.15 뜬금없어서 알 수 없다니요? 뜬금없어서 일부러 비꼬는 게 더 확실하게 드러나는데 응답 Suengchan Kwak 2012.04.29 아니 영어로 쓴건 당연히 비꼰거죠 ㅋㅋㅋㅋ 저걸 진지하게 썼다고 알아드시는 분도 계시네… 평론 전체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주시지 응답 highmint57 2012.05.02 뭔가 반론을 펼치고 싶은데 내용상 반론할 능력이 안되니요점에 벗어난 영어로 같잖은 지적하시는데, 비평자가 비평을 영어로 하든, 한국어로 하든 그게 무슨 문제입니까? 그저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는 걸 리뷰어 탓으로 돌리는 졸렬한 행동이네요. 여기서 보니 참 가관 입니다. 응답 Sung-Soo Kim 2012.06.09 이상하네요. 저는 ‘잘 만든’이라는 말과 ‘웰 메이드한’ 이라는 저 따옴표로 표시된 표현을 읽고난 뒤 나온 뒷 문장을 읽고나서 정말 유쾌하게 한 방 먹였다고 생각했는데. well-made나 잘 만든이나 같은 뜻이지만 받아들여지는 뉘앙스가 사뭇 다르잖아요. 개인적으로도 ‘웰 메이드한’이 ‘잘 만든’이라는 표현보다 고급스럽다고 느껴지면서도 고작 음차한 외국어를 고유어보다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 그 점 때문에 상당히 스스로 불편해져요. 제가 느끼는 바로 그러한 불편한 심기가 이 앨범의 전면에 흐르고 있으니 마지막 문장을 저렇게 쓰면서 ‘웰 메이드’한 이 앨범의 불편부당한 느낌을 더욱 와 닿게 해 주는 것 아닐까요? 저 표현을 버스커버스커 기획자들에 대한 공박으로 여기지 않고 평론가의 겉멋 든 글투로 생각하다니 다소 당황스럽네요… 응답 Leave a Reply to Araratmt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CommentName* Email* Website Δ
프렌치커넥션 2012.04.24 모름지기 기획자라면 제네럴한 어트랙션의 센스를 하일라이팅하면서도 스노비즘의 컨벤션에 인클라인드된, 혹은 캐릭터리스틱한 오디언스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머스트 해브 아이템을 만들고 싶지 않을까. 위의 말을 국어로 번역하면 무슨 뜻인가요? 응답
Araratmt 2012.04.24 저렇게 쓰면 멋 있나요? 멋있어요? 한심합니다. 모름지기 음악평론이라면 제네럴한 어트랙션의 센스를 하일라이팅하면서도 스노비즘의 컨벤션에 인클라인드된, 혹은 캐릭터리스틱한 뮤직 컨슈머 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머스트 리딩 평론을 보고 싶지 않을까 가 아니라 제대로된 아니 적어도 한글로 된 글을 보고 싶지 않을까요.. 당췌 영어야 중국어야 뭐야 그쵸? 응답
Kim JungYong 2012.04.24 글쓴이가 겉멋이 들어 영어를 섞어썼다는 어조의 윗 댓글은 영어 과용도 의도가 있는 글의 장치라는 점을 일부러 못 알아보는 척 하시는건가요… 응답
Araratmt 2012.04.24 일명 보그체를 사용한 부분은 나름의 장치로 보입니다만 평론이라는게 모두 좋을수는 없고 때로는 쓴소리가 더 필요 하겠지만 글 전반의 맥락에 비추어 볼때 마지막에 사용한 소위 의도적 영어 과용이 유쾌한 풍자로 받아들여지기 보다 빈정거림으로 보이기에요 응답
Blues214 2012.04.25 사람 생각이란게 다 비슷하구나. 나도 여수밤바다의 스트링, 이상형의 브라스 편곡은 너무 뻔한 주류의 방식이라 별로였음. 그래도 조금 인색하게 주셨네. 에프엑스, 인피니티 보다는 더 대접받아도 좋을텐데. 응답
sam jeong 2012.04.26 모름지기 기획자라면 제네럴한 어트랙션의 센스를 하일라이팅하면서도 스노비즘의 컨벤션에 인클라인드된, 혹은 캐릭터리스틱한 오디언스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머스트 해브 아이템을 만들고 싶지 않을까.// 이 부분이요 ㅎ 물론 의도를 가지고 쓰신건 알겠습니다. 무슨 의돈지는 글 맥락상 너무 뜬금없어 알 수는 없는데 미치지 않고서 정상적인 사람이 저딴식으로 글을 쓰지는 않으니깐 의도를 가지고 썼다는 생각은 드네요. 아, 그게 의돈가요? 버스커버스커 음반에 대한 평은 거의 전적으로 동감하는바인데 쓸대없는 말장난은 안하시는게; 평론이란것도 하나의 작품이라 보는데 이 평론은 아웃트로에서 개소릴해서 망쳤네요. 응답
highmint57 2012.05.02 뭔가 반론을 펼치고 싶은데 내용상 반론할 능력이 안되니요점에 벗어난 영어로 같잖은 지적하시는데, 비평자가 비평을 영어로 하든, 한국어로 하든 그게 무슨 문제입니까? 그저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는 걸 리뷰어 탓으로 돌리는 졸렬한 행동이네요. 여기서 보니 참 가관 입니다. 응답
Sung-Soo Kim 2012.06.09 이상하네요. 저는 ‘잘 만든’이라는 말과 ‘웰 메이드한’ 이라는 저 따옴표로 표시된 표현을 읽고난 뒤 나온 뒷 문장을 읽고나서 정말 유쾌하게 한 방 먹였다고 생각했는데. well-made나 잘 만든이나 같은 뜻이지만 받아들여지는 뉘앙스가 사뭇 다르잖아요. 개인적으로도 ‘웰 메이드한’이 ‘잘 만든’이라는 표현보다 고급스럽다고 느껴지면서도 고작 음차한 외국어를 고유어보다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 그 점 때문에 상당히 스스로 불편해져요. 제가 느끼는 바로 그러한 불편한 심기가 이 앨범의 전면에 흐르고 있으니 마지막 문장을 저렇게 쓰면서 ‘웰 메이드’한 이 앨범의 불편부당한 느낌을 더욱 와 닿게 해 주는 것 아닐까요? 저 표현을 버스커버스커 기획자들에 대한 공박으로 여기지 않고 평론가의 겉멋 든 글투로 생각하다니 다소 당황스럽네요…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