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차피 SM에서 나왔잖아. 잘 하고 인기있는 게 당연하지.” “Dumb Dumb”이 나오고 나서 친구와 이 곡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 나온 이 한 마디에, 어쩌면 레드 벨벳이라는 팀의 한계가 압축되어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것이 실재이든 신화든 간에) ‘성장’이라는 서사를 커리어를 지속하기 위한 주요한 요소로 활용하는 아이돌에게 있어 출신성분에서 비롯되는 ‘정체감’은 생각보다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부분이니까. SM의 선대 그룹과 비교해 보면 그 걸림돌의 상대적 크기는 더욱 커진다. 소녀시대와 샤이니는 비교적 전형적인 성장곡선을 그렸고, f(x)는 아예 ‘다른’ 노선을 일찌감치 잡았으며, EXO는 초반에는 좀 덜컹거렸지만 (오히려 그 덕분에?) 확실하게 자신들의 수준을 올려 나갔다. 막강한 기획력에 힘입은 이러한 다양한 성장 서사는, 그러나 레드 벨벳(과 앞으로 SM에서 데뷔하게 될 팀들)에게는 선조의 그림자로 작용하고 있다. 사람들은 많은 기대를 하거나, 혹은 정반대로 기대를 갖지 않는다. “반드시 잘 해야돼”와 “어차피 잘 하겠지”의 양 극단. 이런 상황에서는, 사실 잔재주보다는 정공법이 가장 좋은 선택이다. 좋은 곡과 대단한 퍼포먼스, 그것을 단단한 베이스로 깔고 이미지의 변주를 펼치기. 그리고 레드 벨벳은 실제로 그렇게 한다. 레몬라임 팝시클처럼 귓속에서 터지는 “Ice Cream Cake”와 어두우면서도 달콤한 “Automatic”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자신들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시작한 레드 벨벳은 “Dumb Dumb”에서도 그 기조를 이어 나간다. ‘덤덤덤덤덤덤덤’과 ‘하하하’하는 웃음소리로 대표되는 임팩트 있는 후크, 엇박과 고음으로 널뛰는 코러스 라인, 쫄깃한 드럼 비트가 결합하면서 화려한 SM표 아이돌팝 트랙을 선사하며, 뮤직비디오는 레드 벨벳의 커리어 상 가장 다양한 이미지를 병치하면서 곡의 매력을 한층 배가시킨다. 데뷔로부터 이제 막 1년이 지나는 동안, 레드 벨벳의 아이덴티티에 대해서는 ‘콘셉트가 없는 게 콘셉트’ ‘f(x)의 재림…인 줄 알았더니 조금 다르다’ ‘멤버의 몰개성화가 극대화된 팀’ 등의 여러 가지 이야기가 오고 갔다. 그렇지만 “Dumb Dumb”이 나온 지금, 어쩌면 ‘잘하네’라는 말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정석적인 행보가 그 자체로 이들의 정체성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표현을 재활용하자면, 잘하지 않을 수 없는 환경에서 잘하고 있다는 것이 딱히 잘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잘하는 것보다 쳐지는 일은 아니다. 그것이 선조의 그림자 속에 서 있던 이들이 선조의 어깨를 딛고 ‘성장’하는 방법이다. 레드 벨벳은 지금 현재, 아주 잘하고 있다. 그 사실이 마이클 잭슨의 노래 제목을 빌린 낮간지러운 랩도 애교로 넘길 수 있게 만든다. | 정구원 lacelet@gmail.com One Response 니흠 2015.09.21 좋은 곡 소개 감사합니다. 곡 좋은데 2:25 부분이 이질적이네요. 이런 뽕끼 꼭 넣어줘야 했나요… 응답 Leave a Reply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CommentName* Email* Website 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