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SM 엔터테인먼트의 총 매출액은 약 1686억 원이었다. 전년 대비 53% 증가한 액수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배 이상 오른 약 478억 원이었다. YG 엔터테인먼트는 2012년 1000억 원 이상이 확실시되고 있다. SM의 절반 수준이었던 2011년보다 220억 원 이상 증가했다. JYP, 큐브 및 FNC 엔터테인먼트 등도 400억 원 수준이라 예측되지만, 그 역시 적은 규모는 아니다. 바야흐로 K-POP 산업의 전성기라 해도 좋을 이때, SM 엔터테인먼트는 K-POP 산업의 1인자일 뿐 아니라 그 원형과 토대로서의 지위를 얻고 있다. K-POP과 SM 엔터테인먼트에 대해 좀 더 들여다볼 필요가 있단 얘기다. | [weiv] 케이팝과 ‘록 스피릿’: 어떤 K-POP은 왜 복잡해졌는가 누군가 ‘K-POP=아이돌 팝’의 가장 큰 특징이 뭐냐고 묻는다면 나는 ‘복잡함’이라 대답하겠다. 이는 음악 안과 밖 모두에 대한 얘기다. 우선 음악 안에서의 복잡함은 중첩된 사운드와 과장된 볼륨, 수시로 급변하는 템포와 무드, 각종 이질적인 장르의 무차별적인 혼합으로 드러난다. 소녀시대의 말 많았던 곡 “I Got A Boy”는 가장 최근의 예에 불과하다. 사실 우리는 ‘복잡한 K-POP’에 오래 전부터 익숙하다. 이른바 ‘SMP’는 H.O.T. 이래 SM 엔터테인먼트가 가꿔온 유구한 전통이지 않은가? 음악 밖에서의 복잡함은 다양성에 대한 집착으로 표현된다. G-드래곤의 EP [One Of A Kind](2012)에서 음악만큼이나 흥미로운 건 힙합에서 포크, 록까지 모두 섭렵하는 GD의 왕성한 장르 탐식이다(더불어 그는 ‘욕설’도 집어넣고 ‘인디의 실력자’와도 ‘콜라보’를 한다). 우리는 예전에 이를 앨범 단위로 구현해낸 뮤지션이 있음을 알고 있다. GD의 소속사 YG 엔터테인먼트의 대표 양현석이 속했던 그룹 서태지와 아이들이다. 그렇게 보면 GD의 EP는 마치 서태지 디스코그라피의 압축 버전처럼 들리기도 한다. 물론 YG 엔터테인먼트의 대표적인 뮤지션들, 이를테면 빅뱅이나 2NE1 등의 음악 역시 종종 산만할 정도로 복잡하고 화려하다. 빅뱅의 경우 초기에는 ‘힙합 댄스 그룹’의 정체성이 강했지만, 최근에는 U2 등을 연상시키는 ‘모던 록 밴드’의 소리에도 도전하고 있다는 점도 같이 언급할 수 있겠다. 지금부터 할 얘기가 직관과 경험에 기댄 가설이라는 걸 밝혀둘 필요는 있을 것 같다. 1990년대 대중음악 담론의 주류는 분명 ‘음악적 진정성’이었을 것이다. 이를 ‘반항과 저항으로서의 록 스피릿’이라 표현할 수도 있겠다. 그런데 이 ‘록 스피릿’이 국내에서 대중적 파급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1960년대 영미권의 록 음악이 그랬듯 상업적 성공과 진정성이 결합할 수 있음을 증명할 수 있는 뮤지션이 필요했다. 서태지와 아이들, 정확히 말해 서태지가 그것을 증명했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3집 발매 후 서태지가 평론가 강헌과 가졌던 계간 [리뷰]의 인터뷰는 그에 대한 공식적인 인증에 다름 아니었다. 그렇게 생각할 때 서태지와 아이들의 3집과 4집이 어느 정도 ‘목적의식적’으로 들리는 게 놀랄 일은 아니다. 돌이켜 보면 이 음반들의 메시지와 태도는 ‘반항과 저항’이라기보다는 ‘호소와 계몽’에 더 가깝지만(남북통일, 교육문제, 청소년 가출), 이는 당시 서태지가 주변에 미친 영향과 충격을 기준으로 평가해야 할 일이다. 요점은 한국에서 ‘말’의 단계에 머물러 있던 음악적 진정성이 피와 살을 얻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얼마 뒤 진정성의 상징적 장르인 포크 뮤지션이자 ‘엘리트 가수’였던 이수만과, 서태지와 함께 활동했던 양현석이 각자 자신의 기획사를 통해 가수들을 데뷔시킨다. 전자는 극도로 상업적인 음악을 한다는 비난을 받으며 계속해서 진정성을 의심받았다. 보아의 성공 이전까지, 어쩌면 그 이후까지도 SM 엔터테인먼트는 ‘진지한’ 음악 팬들에게 ‘악’으로 간주되었다. 대개련(대중음악개혁을위한연대모임) 등의 단체들에게서 립싱크 문제로 공격받았고, 팬들은 ‘빠순이’가 되었으며, 소속 그룹의 음악은 길티 플레저가 되었다. SMP의 그 복잡하고 배배 꼬인 스타일, 예컨대 H.O.T.의 “아이야” 같은 곡에서 극단적으로 드러나는 과시적 성격은 산업적 필요만큼이나 ‘록 스피릿’과의 ‘대결’로 인한 것은 아니었을까? SM 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이 겪는 혹독한 보컬 트레이닝을 그런 맥락에서 바라볼 여지는 없을까? 콘서트에서 가졌던 ‘국가 선포식’은? 한편 후자는 1990년대 음악적 진정성의 상징과 넉 장의 정규음반을 내며 시대의 공기를 호흡했다. YG가 빅뱅, 그리고 G-드래곤을 ‘아티스트 아이돌’이라는 일견 모순된 존재로 키워내고자 하는 의지는 그 공기에 대한 향수이자 ‘아이돌 대 진정성’이라는 대립 구도에 대한 나름의 해법이 아닐까? 클럽 댄스, 힙합, R&B, 록을 모두 감싸안으려 노력하는 빅뱅의 ‘미니 앨범’들은 또 어떤가? 이 구도에 JYP를 집어넣는다면 상황이 더 분명해질지도 모르겠다. 박진영은 데뷔 당시부터 자신을 ‘딴따라’로 자리매김했고, 그것을 자신의 진정성으로 삼았다. 따라서 그는 SM이나 YG처럼 외부의 기준에 신경 쓸 필요가 없었다. 그의 지금까지의 활동을 통해 짐작컨대 그가 반응한 것은 오로지 자신의 꿈밖에 없었다. 이른바 ‘3대 기획사’의 음악 중 JYP의 결과물이 가장 ‘소박하고 전통적’이라는 점을 그런 시각에서 본다면 의미심장한 측면이 있다. 내친 김에 ‘팬’이라는 변수도 고려해보면 어떨까. SM이나 YG 엔터테인먼트 소속 뮤지션들의 팬들이 해외 매체, 특히 미국이나 유럽 매체의 기사들을 자주 가져오는 것은 아마도 ‘음악 선진국’에서의 평가를 의식하는 자연스러운 반응일 것이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많은 이들의 머릿속에서 ‘음악 선진국’이란 ‘진실한 음악적 진정성이 머무르는 곳’이기도 하지 않을까? 그리고 그건 ‘고루한, 꼰대 같은 진정성’에 갇혀 있는 ‘국내 평론’에 대한 반작용이기도 하지 않을까? 그 기원을 자신들이 사랑하는 가수들이 ‘붕어’라며 비웃음당하던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 찾는 건 무리일까? 더불어 팬들의 마음속에서도 ‘이’ 진정성과 ‘저’ 진정성 사이에는 가치의 차이가 있는 건 혹 아닐까? ‘K-POP=아이돌 팝’이 진정으로 꽃피고 있는 시장인 필리핀이나 대만, 베트남 매체의 기사를 인용하지 않는 걸 그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는 없을까? 다시 말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가설에 불과하다. 책임을 회피하겠다는 뜻이 아니라 단상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러나 다른 예술 분야에서도 그렇듯, 물질적 조건과 창작의 재료들이 움직이는 방향을 제어하는 ‘정신적 흐름’이란 것은 분명 존재한다. 그 흐름을 K-POP=아이돌 팝의 변화와 특징을 돌이키고 고려하는 데 있어 무시할 수는 없다고 본다. 더 많은 사람들의 ‘증언’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다. | 최민우 daftsounds@gmail.com 관련 글 [special] SM과 K-POP | 왜 SM인가? [special] SM과 K-POP | 의사 선생님, SMP가 뭔가요 [special] SM과 K-POP | ‘병맛’의 역사: 팬심으로 기록한 SMP의 마수 Leave a Reply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CommentName* Email* Website 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