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언티 | Red Light | 아메바컬쳐, 2013 목소리 너머의 것들 자이언티(Zion.T)는 2011년 싱글 발표 후 지금까지 ‘좋은 보컬리스트’로 알려져 왔다. 음정과 박자의 영역을 넘어 가사나 라임까지도 주어진 맥락에 맞게 창의적으로 엮어낼 줄 아는, 개성 강한 가수로서 인정받아온 것이다. 그런데 그의 첫 앨범 [Red Light]은 자이언티라는 인물이 매력적인 보컬리스트라는 사실 너머의 사실, 다시 말해 좀 더 주목할 만한 지점을 확인케 한다. 그것은 보컬리스트 그 이상의 가치다. 그는 이 음반에서 통솔자(commander)이자 관리자(controller)인 동시에 적극적인 의미의 프로듀서(producer)로서 모든 곡을 능란하게 전두지휘하고 있는 듯 보인다. 하나의 앨범에 누가, 어떻게, 얼마나 참여했는지는 그 음반을 정확히 정의하지 못한다. 비중의 크고 작음에 상관없이 참여진은 외부인일 뿐이다. 우리는 이미 ‘유명 음악인들이 대거 참여한 별 볼 일 없는’ 음반들을 종종 봐왔다. 조력자들의 실력이나 명성 자체보다 그들을 자신의 음악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중요한 이유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자면 [Red Light]은 성공한 음반이다. 이 앨범에는 (크레딧상으로) 여섯 명의 보컬리스트/래퍼와 다섯 명의 프로듀서가 참여했지만, 각 트랙들은 극도로 일관적인 통제 선상 위에 놓여 있다. 자기 중심을 잡고 있다는 얘기다. [Red Light]을 지배하는 기류는 네오 소울(Neo Soul) 혹은 어반 알앤비(urban R&B)로 불릴 만하다. 그리고 그러한 명칭과 어울리는 주변 장르들이 군데군데 녹아 있다. 힙합, 일렉트로 훵크(Electro Funk), 루츠 레게(Roots Reggae) 등이 대략 그런 것들인데, 언뜻 디안젤로(D’Angelo), 제이 딜라(J Dilla), 자미로콰이(Jamiroquai), 드레이크(Drake), 루츠(The Roots), 심지어 데니스 보벨(Dennis Bovell) 같은 이름도 첫인상을 슬쩍 스치고 지나간다. 수록곡들이 하나같이 수려한데, 그중에서도 “지구온난화”는 놀랍도록 능숙하면서도 감각적인 요소로 가득한 덥(Dub) 뮤직이고, “Neon’/Director’s Cut”은 턴테이블리즘(Turntablism)과 블랙 록(Black Rock)의 조합이 절묘하다고 말해도 될 치밀한 인스트루멘틀 곡이다. 물론 자이언티의 음악 세계를 열고 닫는 앞문과 뒷문은 여전히 보컬이다. 특유의 음색과 감각이 선명하게 서려 있는 그의 목소리는 앨범을 완성짓는 탁월한 마감재로 기능한다. 하지만 문은 집의 일부다. 오랫동안 ‘재야의 숨은 고수’로 활동해온 프로듀서 피제이(Peejay)를 비롯해 진보, 프라이머리, 그레이(Gray), 크러쉬(Crush) 등의 제작진과 함께 작업한 곡들에서도 자이언티는 중심을 잘 잡고 있는 듯하다. 노래들을 매만지고 쥐어짜며 이끌어간 그의 흔적이, 앨범을 관통하는 일관된 소리와 양식을 통해 고스란히 드러난다. 좋은 팝음악은 동시대의 선진적 흐름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그래서도 곤란하다. 자신이 몸담고 있는 씬에서 한 발짝 앞서 나가는 음악이라면 더욱 그렇다. 동시대의 음악과 어깨동무를 하면서도 때로는 그들을 넘어서고자 하는 욕망은 곧잘 진보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곤 한다. 자이언티의 이 데뷔 정규작이 인상적인 것은, 그가 흡수한 대중음악의 레퍼런스들이 그 안에서 어떤 방식으로 싹을 틔웠으며 어떻게 조합되어 새로이 구현됐는지가 흥미롭게 펼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좋은 것들’을 가지고 ‘그들보다 더 좋은 것’을 만들어내는 감각과 방향성이 이처럼 돋보이는 앨범은 오랜만이다. 수록곡 수가 다소 부족하게 느껴지는 측면이 있긴 하지만, [Red Light]은 지금 이 시기 한국의 블랙 뮤직이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를 유쾌하게 감상할 수 있는 극장처럼도 보인다. 마치 오래 기다려온 음악을 만난 기분이다. | 김영진 younggean@gmail.com rating: 9/10 수록곡 01. O 02. Doop (Feat. Verbal Jint) 03. 도도해 04. She (Feat. Beenzino) 05. Neon 06. Babay (Feat. Gaeko) 07. 지구온난화 (Feat. YDG) 08. 뻔한 멜로디 (Feat. Crush) 09. Doop (Inst.) 10. Neon’ / Director’s Cut 11. Click Me (2013) (Feat. Dok2) Leave a Reply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CommentName* Email* Website 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