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505101717-07freaky

프리키(Freaky) – Melody Maker – 버블검 사운드, 2005

 

 

깔끔한 기타 팝의 향연, 프리키

2000년에 들어서자 홍대 앞 인디씬에는 작은 변화가 생긴다. 고사양 컴퓨터의 가격 하락으로 홈레코딩이 가능해졌고, 라이브 클럽들의 침체로 공연보다 음반 제작이 밴드를 홍보하는데 더 큰 도움이 되는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이 즈음 홍대 앞의 레코드점에 가면 유난히 인디 밴드들의 미니앨범(EP)들을 자주 볼 수 있었다. 물론 그것이 그 즈음에 불현 듯 나타난 현상은 아니다. 다만, 그 즈음에 더 자주, 더 많이 눈에 띄었다는 얘기다. 피터팬 콤플렉스, 라이너스의 담요 등 나름의 인기를 얻었던 밴드들을 포함해서 페니레인(Penny Lane), 엘(El), 프리키(Freaky), 위스키 리버(Whisky River), 눈뜨고코베인, 럼블 피시(Rumble Fish), 잔향 등의 밴드들이 인디 레이블을 통해서, 혹은 자체적으로 EP를 발매했다. 그리고 그 즈음 EP를 발매한 밴드들은 이후에 정규 앨범을 발표하고 정기 공연을 하는 순서를 따랐다. 이 글에서 소개할 밴드 프리키도 그들 중 하나였고,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얼마 전 정규 음반을 내고 활동 중이다.

프리키는 2001년에 결성된 기타 팝 밴드다. 기타 팝을 액면 그대로 ‘전기 기타가 중심이 된 팝 음악’이라고 이해한다면 이들의 사운드가 어떤 것인지 짐작이 갈 것이다. 흔히 록 사운드라고 할 때 ‘디스토션이 걸린 전기 기타의 징징거리는 쇳소리’를 떠올리는 것과 어느 정도 대척점에 있는 ‘밝고 흥겨운 멜로디의 업비트 음악’이 그것이다. 홍혜주(기타, 보컬), 김유나(기타), 이현호(베이스), 전영호(드럼)로 구성된 이 밴드의 사운드는 티 없이 맑게 자란 십대를 만난 것 같은 느낌을 준다. [Melody Maker]라는 앨범의 제목답게 음반의 수록곡은 금새 따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익숙하고 편안한 멜로디로 가득하다. 2003년 EP에도 수록된 바 있는 앨범의 첫 곡, 클래시컬한 현악으로 시작되는 “시작”은 미드템포의 깔끔한 멜로디가 돋보이는 곡이고, 이어지는 곡 “비행”은 앨범의 타이틀곡답게, 업 비트의 훅(hook)이 두드러지며 힘있는 연주로 대중적이고 보편적인 감각을 자랑하는 곡이다. 브레이크 비트가 돋보이는 “My Song”은 앨범 중에서 가장 록킹(rocking)한 곡이고, “나비의 여행”의 매력적인 사운드도 빼놓을 수 없다. “시작”과 마찬가지로 EP에 먼저 수록되었던 “꿈속에서”, “초록비”, “별” 등의 곡들이 재편곡되어 실렸는데 이 곡들은 그전보다 더 깔끔해지고 더 말끔해졌다. 별다른 기교없이 씩씩하게 내지르는 홍혜주의 보컬은 기본기가 탄탄하게 다져진 보컬이고, 다른 멤버들의 연주 역시 몇 년간의 활동을 통해 발군의 실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 앨범에는 긍정적인 사운드가 가득하다. 사운드뿐만 아니라 가사 역시 삶에 대한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감수성이 도드라진다. 물론 구체적인 상황이 부재한 상태에서의 낙천성이라는 점 때문에 이들의 노래는 ‘어려워도 힘들어도 내일을 향해 나아갈거야’라는 식으로 막연하게 들리긴 하지만, 이런 사운드가 봄 날씨에 어울리는 제법 상쾌한 사운드라는 점은 분명하다.

이 앨범을 단지 잘 만들어진 기타 팝 앨범으로 치부할 수도 있지만, 프리키의 데뷔 EP를 접하고 이들에게 품었던 기대를 데뷔 앨범에서 얼마 간 확인하게 된 입장으로서는 이 앨범에 대한 감상이 단지 이들의 음악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1990년대 중반, 홍대 앞에 인디씬이 형성되며 그 공간/사운드/사람들에게 부여되었던 가치들은 다소 이데올로기적이며 정치적인 함의들이었다. 당시 소수이지만 나름 문화 트렌드에 민감했던 소비자들의 주류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불신과 폄훼가 1990년대 초반에 등장했던 문화 운동가들의 이론과 결합하며 만들어진 공간이 홍대 앞 인디씬이었으며, 그곳에서 생산되던 ‘문화적인 어떤 것’은 항상 ‘대안적인 어떤 것’과 동일시되었다. 이것은 주류 대중 문화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하게 되는 계기로 작동했지만, 동시에 ‘인디’라는 개념을 이데올로기화하여 ‘대안적인 문화 활동’이라는 당위에 강박증적으로 집착하기도 했다. 물론 이것은 주류 미디어에 의한 포장이었고, 그에 따라 홍대, 혹은 인디씬이라는 공간은 ‘뭔가 특이하고 복잡하고 신선하고 그로테스크하며 신기한 곳’이 되어버렸다. 이를테면 홍대는 한국 내부에 존재하는 ‘외계’였고 그것은 지금도 그러하다.

초기 인디씬의 밴드들에게 실험적인 사운드, 혹은 해외 록 음악의 감수성을 어떻게 체화하느냐가 화두로 작용했다면, 최근에는 어떻게 ‘식상하지 않게 보편적인 대중성을 획득하느냐’가 화두가 되는 듯하다. 시쳇말로 ‘천박하지 않은 대중성’의 획득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이다. 소위 말하는 음악성이란 실험성과 같은 말이 아니다. 음악성이라는 용어가 지극히 주관적이고 감상적으로 들리긴 하지만, 그것은 이론이든 실재든 ‘문화의 역사를 통해 증명되는 것’이고, 그 역사는 결국 그것을 만들고 향유하는 사람들의 몫이다. 그런 점에서 프리키와 같은 밴드들 – 럼블피쉬, 마이언트메리와 같은 밴드들 – 의 등장과 선전은 의미있는 일이다.

음반 시장의 불황은 역설적으로 웰메이드 음반들을 대거 양산하게 되는 환경을 만들고 있다. 직설적으로 말해, 잘 만들지 않으면 팔리지 않는다. 이것이 자본주의 시장을 움직이는 기본 원리이고, 현대 대중문화 소비의 양식이자 특징이다. 프리키의 데뷔 앨범은 이런 점에서 성공적이라고 할 수 있다. 20050504 | 차우진 lazicat@empal.com

8/10

* 이 글은 컬쳐뉴스에 수록된 글입니다.
http://www.culturenews.net/index.asp

수록곡
1. 시작
2. 비행
3. Happy New Year
4. My Song
5. 꿈속에서
6. 초록비
7. 산책
8. 나비의 여행
9. 괜찮아
10. 별

관련글
프리키(Freaky) [b1](EP) 리뷰 – vol.5/no.24 [20031216]

관련 사이트
프리키 공식 홈페이지
http://www.freak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