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현석 – 푸른별 – 노래나무, 2003 돈키호테의 꿈 대학 시절 노래패 활동을 한 것이 경력의 전부라는 나이 서른 둘의 사내, 최현석의 목소리는 소담한 지붕을 얹은 마당 깊은 집을 떠올리게 한다. 그의 목소리는 김광석과 같은 아득한 깊이와 울림을 지녔지만, 정작 최현석의 노래를 통해 전달되는 것은 김광석의 잔상이 아닌 노래와 삶에 대한 소박한 진심이다. 그것은 미묘하게 갈라지는 그의 음성으로부터, 그리고 토속적인 남도의 저녁 풍경을 묘사한 가사로부터 전해온다. 최현석의 데뷔 음반, [푸른별]의 첫 인상이다. 음반의 프로듀싱을 맡은 인물은 백창우. 아는 사람은 이미 알다시피 그는 1990년대 초반 향토색 짙은 서정적이고 감성적인 노래를 만들어 부르던 노래마을이라는 노래(운동)공동체를 이끌었던 인물이다. 노래마을의 모든 음반과 김광석 추모앨범 [가객]을 작업했던 그의 이력은 이 음반에서 소박하고 정갈한 서정성으로 드러난다. 피아노와 통기타, 하모니카와 바이올린, 오카리나와 아코디언이 사용된 음악들은 친절한 멜로디를 만들어 내고, 거기에 묻혀 전달되는 노랫말은 한결같이 세상과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고수하고 있다. 혹자는 8번째 트랙 “돈키호테의 꿈”이 1994년에 발표된 노래공장의 음반, [진보/미래/희망]에 실렸던 곡이라는 사실로부터 이 음반의 ‘좌파’ 성향을 유추할 사람이 있을지 모른다. 그의 유일한 이력을 통해 짐작했겠지만, [푸른별]은 서정적인 민중가요의 맥락 어딘가에 위치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를테면 이 음반은 노래를찾는사람들, 꽃다지, 노래마을, 노래공장 등 노래(운동)공동체들과 연영석, 서기상, 손현숙, 이지상과 같은 솔로 가수들의 궤적과 함께 생각된다는 얘기다. 그러나 1990년대 초반 소비에트 연방으로 대표되는 동구 사회주의(국가)의 몰락으로 인한 한국 지식인 계층의 정서적 공황상태와 그 속에서의 역설적인 희망을 노래했던 노래공장의 “돈키호테의 꿈”이, 2003년에 이르러서는 ‘여러모로 어려운 시절에 묵묵히 자신의 꿈을 지키며 살아가련다’라는 보편적인 정서로 이해되듯이, [푸른별]에 수록된 12곡의 노래와 삶에 대한 진지하고 사려깊은 시선은 이중적으로 해석된다. 서정적이고 소박한 어쿠스틱 사운드에 회고적이고 감상적인 노랫말이 담겨 있는 “푸른별”과 “너”, “풍경”과 “종착역” 등의 노래가 일견 소박한 감수성의 사랑노래로도, 일견 사회적 약자에 대한 따뜻한 격려로도 들리는 것은 그런 이유다. 물론 그 차이는 ‘사랑’의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므로, 결국 수용자들의 몫이긴 하지만 말이다. 정작 [푸른별]의 미덕은 깔끔한 사운드에 있다. 적어도 조악한 사운드, 미숙한 편곡으로 음반을 해치지는 않는다는 얘기다. 어떤 면에서 어색하거나 귀에 거슬리는 부분이 있을지 모르지만, 그것은 여기에 담긴 사운드가 보편적이 아니어서 그런 것이지, ‘음질’때문은 아니다. 게다가 이런 음반은 주류 시장의 음반이나 인디씬의 음반과 온전히 비교할 수도 없을 것이다. 왜냐면 음반이 만들어지고 유통되는 토양이나 방식, 대상이 전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음반은 사실 엉뚱하다. 지금 아무도 바라보지 않는 곳, 기억에서 잊혀졌거나 혹은 사람들이 외면하려는 곳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는 그의 시선은 보편적인 삶으로부터 약간 비껴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최현석과 [푸른별]은 노래운동진영과 대중음악의 경계에 존재하는 이정렬이나 이지상 등과 함께 거론되어야 할 것이다. 혁신은 아니지만, 자신이 서 있는 곳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꾸준히 해나가는 것. 그것이야말로 어쩌면 첨단으로만 달려가는 21세기적 삶에 대한 대안적 방식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이런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속도의 시대, 21세기에 뜬금없이 등장한 이 엉뚱한 음반에 대한 정당한 평가방법이 아닐까. [푸른별]의 가치는 바야흐로 그 속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20030718 | 차우진 lazicat@empal.com 7/10 수록곡 1. 푸른별 2. 길 위에 선 사람들 3. 고목 4. 너 5. 풍경 6. 그대 가슴에 푸른 나무되어 7. 겨울나무 8. 돈키호테의 꿈 9. 살자꾸나 10. 남으로 오세요 11. 그때 12. 종착역 관련 글 관련 사이트 최현석 공식 사이트 http://bluestar2003.hihom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