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개편, 그리고 비평 저널리즘의 위치 [weiv] 2012.03.04 editor's note 10 Comments 1. 드디어 개편. 내부에서 본격적으로 얘기가 나온 게 3년 전이었고, 그 동안 몇 번 엎어졌다가 작년 여름, 올해는 꼭 성사시키자고(내부 커뮤니티에 개설된...
[special] 아오, 이 음악 비~평_1 [weiv] 2012.03.02 special 1. 비평은 늘 실패할 것이다 는 창간부터 이제까지 '음악 비평'에 대한 고민과 질문을 지속해왔다. 1999년 9월의 에디터스 노트, 2002년과 2005년,...
[special] 아오, 이 음악 비~평_2 [weiv] 2012.03.02 special 2. 한국 대중음악 비평의 역사적 배경과 현재 보통 1990년대 중반에 본격화되었다고 보는 한국 대중음악 비평의 형성 과정과 맥락에 대해, 학계에서는 어떤...
[special] 아오, 이 음악 비~평_3 [weiv] 2012.03.02 special 4 Comments 3. 음악 비평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음악 비평의 표면적 정의는 간단하다.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가치'는 비평이 현재 수행하는 역할을 통해...
[column] 웹진 [보다]의 “한국 대중음악평론의 내일을 묻는다”에 대한 반론 [weiv] 2010.04.07 article, special 얼마 전 음악웹진 에 “한국 대중음악평론의 내일을 묻는다”는 제목의 칼럼이 게재되었다. 서정민갑이 쓴 이 장문의 글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editor’s note] 음악 비평(가)의 역할과 동시대성 [weiv] 2009.08.18 editor's note 최근 개인적으로 가장 많이 고민하고 멤버들과 공유하는 얘기는 '음악 글 팔아 먹고 얼마나 살 수 있을까'다. 이걸 생계적 문제라고 해도 좋다. 하지만 사실...
[editor’s note] 비평의 위기와 비평적 위기 [weiv] 2005.06.17 editor's note 비평이라는 행위를 하는 사람들은 아이러니라는 편두통을 막기 위해 권위라는 타이레놀을 먹어야 하는 생물입니다. 비평가는 칭찬의 말을 할 때조차도...
신병하 | 한국 대중음악의 ‘이론가’, 그 40년 동안의 실천들 [weiv] 2002.09.13 interview 일시 및 장소: 2002.9.13 카페 의 야외 질문: 신현준 정리: 송창훈, 최지선 신병하(1945년생)는 먼저 , , , 등 영화 음악 및 드라마 음악으로 많은 이들에게...
[editor’s note] 저널의 자리, 비평의 자리 [weiv] 2002.02.16 editor's note 일전에 한 유력한 주간지에서 "비평의 파산?"이란 제목으로 기사가 난 적이 있다. 관심이 가는 건 영화 쪽 얘기였는데, 대략의 요지는 거칠게 말하자면 '요즘...